"청잡석(靑雜石)"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7년 12월 10일 (일) 00:23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청잡석 |
한글표제 | 청잡석 |
한자표제 | 靑雜石 |
동의어 | 뒤채움돌 |
관련어 | 잡석다짐 |
분야 | 문화/예술/건축 |
유형 | 물품·도구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시대 |
왕대 | 현종 |
집필자 | 신지혜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청잡석(靑雜石)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현종실록』 14년 10월 11일 |
매끄럽지 않고 모가 많이 난 산돌.
내용
청잡석(靑雜石)은 산에서 가져다 쓸 수 있는 막돌의 일종으로 뒤채움돌이라고도 한다. 잡석은 기초 공사에서 잡석다짐이라 하여 잡석을 다져 넣어 토질을 개량하고 지내력(地耐力)을 높여주는 방식의 공사에서 주로 사용된다. 또한 성곽이나 석축·기단 공사 등에서 석재의 표면을 잘 다듬어 쌓은 다음 이를 지탱하기 위한 뒤채움석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석공사에서는 흙으로 뒤채움을 하는 것보다 잡석을 사용할 때 마찰력이 발생하여 지내력이 강해지며, 토압이나 유수로 인한 피해를 막을 수 있다. 『현종실록』 1673년(현종 14) 기사 중, 산릉에 조성된 병풍석의 석재 사이 간격이 벌어진 곳에 청잡석을 끼워 넣어 임시 조처가 된 상황 등이 나타나 있다.
용례
寅卯方屛風石撤去 則水痕未乾 且有木一片 引錠所銜正地臺石 引而裂破長二尺 丑寅間正地臺石 亦坼裂長二尺 兩石間多塡靑雜石及眞土 子丑間屛風石撤去 則水痕一樣 兩石相接處 靑雜石眞土所塡 與丑寅間同(『현종실록』 14년 10월 11일)
참고문헌
- 김왕직, 『알기 쉬운 한국건축용어사전』, 동녘, 2007.
- 장기인, 『한국건축사전』, 보성각,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