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하태평기(天下太平旗)"의 두 판 사이의 차이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7년 12월 10일 (일) 00:21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천하태평기 |
한글표제 | 천하태평기 |
한자표제 | 天下太平旗 |
상위어 | 기휘(旗麾), 의장(儀仗) |
관련어 | 군왕천세기(君王千歲旗) |
분야 | 왕실/왕실의례/예기 |
유형 | 물품·도구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집필자 | 강제훈 |
용도 | 의장기(儀仗旗) |
재질 | 견(絹) 등의 직물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천하태평기(天下太平旗) |
조선시대의 의장물 중 하나로 둥근 원 안에 ‘천하태평(天下太平)’이라는 글을 세로로 적어 넣은 사각형의 기(旗).
개설
조선에서 왕의 의장은 그 규모에 따라 대장(大仗), 반장(半仗), 소장(小仗)으로 나뉘는데, 천하태평기는 대장과 반장에서만 1기가 사용되었고, 소장에는 사용되지 않았다. 천하태평기는 노부(鹵簿)의 행렬 시나 전정(殿庭)에 배치될 때 주로 군왕천세기(君王千歲旗)와 짝하여 사용되었다. 깃발의 문구가 드러내듯 이 기는 천하가 왕의 다스림으로 태평해지기를 기원하는 뜻을 담은 의장물이었다.
연원 및 변천
중국 의장의 변천을 살필 수 있는 『통전(通典)』이나 『문헌통고(文獻通考)』 등에는 천하태평기의 존재가 보이지 않는다. 중국의 제도를 본떠 만든 고려의 의장물 중에서는 천하태평기를 확인할 수 있는데, 바로 법가노부(法駕鹵簿)와 순행영접노부(巡幸迎接鹵簿), 그리고 연등회노부(燃燈會鹵簿) 중에 천하태평대기(天下太平大旗)가 쓰이고 있다. 고려의 노부와 의장에서 천하태평기는 주로 사해영청기(四海永淸旗)와 짝하여 사용되었다.
조선 개국 이후 의장의 정비 과정에서 천하태평기는 의장기로 존속한 반면 사해영청기는 의장기에서 제외되었고, 군왕천세기가 그 자리를 대신하였다. 추측컨대 제후국을 표방한 조선에서 황제나 쓸 수 있는 ‘천하’ 및 ‘사해’라는 표현을 전부 의장물로 구현하기는 상당한 부담이 있었던 것이고, 이에 따라 천하태평기만을 의장물로 남긴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천하태평기는 가장 규모가 큰 대장의장·대가노부(大駕鹵簿) 및 그다음 규모인 반장의장·법가노부에서 각각 1기씩만 사용되었고, 가장 작은 규모의 소장의장·소가노부(小駕鹵簿)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
형태
조선의 의장물에 대한 규정을 담고 있는 『세종실록』「오례」 및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참조해 보면, 천하태평기는 사각 깃발에 불꽃 모양으로 장식한 화염각(火炎脚)을 달고 있었다. 기 내부는 흰 바탕에 둥근 원을 그려 넣고, 그 안에 ‘천하태평’ 네 글자를 세로로 써 넣었으며, 주변을 청색·적색·황색·백색 등으로 채색하였다.
생활·민속 관련 사항
‘천하태평’이란 어휘는 통치자에게는 이상적 정치 실현의 의지를 드러낼 때, 민간에서는 보다 평안한 삶을 영위하고픈 염원을 나타낼 때 자주 사용하였다. 천하태평기는 왕의 여러 의장물 중에서도 상징적 의미를 가장 직접적인 형태로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독특하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통전(通典)』
- 『문헌통고(文獻通考)』
- 백영자, 『조선시대의 어가행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1994.
- 강제훈, 「조선전기 국왕 의장제도의 정비와 상징」, 『사총』77, 2012.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