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봉도(五峰圖)"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차이 없음)

2017년 12월 10일 (일) 00:19 기준 최신판



해와 달과 다섯 개의 봉우리 등이 그려진 조선 시대의 궁중화로 주로 병풍으로 제작되어 어좌 뒤에 설치됨.

개설

오봉도의 다른 명칭으로는 일월도(日月圖), 곤륜도(崑崙圖) 등이 있으며 주로 국왕의 자리 뒤에 놓였다. 장식성이 강한 오봉도는 왕권을 상징할 뿐만 아니라 백성들의 태평성대를 염원하는 의도에서 제작되었다. 오봉도에는 다섯 개의 산봉우리와 해, 달, 소나무, 물이 일정한 구도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는 나름의 상징적인 의미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는데, 유교의 고전인 『시경』에 있는 「천보(天保)」라는 시를 표현한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이 시는 왕의 덕을 칭송하고 왕에 대한 하늘과 조상의 축복을 기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오봉도는 궁궐 어좌 뒤, 임금의 초상인 어진(御眞)을 모신 진전(眞殿)이나 혼전(魂殿) 등에도 비치되었다. 화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다섯 개의 큰 봉우리와 그 아래 소나무·폭포·파도, 상단 좌우에 해와 달을 포치시켜 좌우균형을 갖춘 매우 도식적인 그림이다. 임금은 천명을 받아 삼라만상을 통치함을 나타내며, 하늘의 보살핌으로 자손만대로 왕실과 나라의 무궁함을 기원하는 의미도 담고 있다. 중국에서 시작되었으나 발생이나 기원에 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고 명·청 시대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현재 중국이나 일본에 몇몇 남아 있는 작품은 한국과는 묘사와 채색면에서 많은 차이를 보인다.

연원 및 변천

오봉도의 시원적인 모습은 중국에서 발견되었다. 중국 오봉병의 기원에 관해서는 『시경』「천보」의 내용을 그렸다고 하는 설과 중국 황제의 면복에 있는 해와 달 및 산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으나 확실하지는 않다. 오봉도가 중국에서 시작되었다고는 하지만 오봉도가 독특하게 발달하여 정교한 필치와 화려한 채색을 사용을 사용하여 장중한 모습의 정형화된 그림으로 발전한 곳은 조선이었다.

현존하는 조선 시대의 오봉도로는 창덕궁 인정전(仁政殿)·창경궁 명정전(明政殿)·경복궁 근정전(勤政殿)·덕수궁 중화전(中和殿)의 그림들이 대표적이다. 현존 유물과 기록으로 볼 때, 16세기 중엽까지만 해도 어좌 뒤에 반드시 오봉병이 있어야 한다는 규정이 있었던 것 같지는 않으나 19세기가 되면 어좌 뒤에는 반드시 오봉병을 설치한 것으로 보인다.

형태

오봉도는 다양한 병풍으로 제작되었다. 오봉병에는 삽병(揷屛)을 위시하여 4폭 오봉병, 6폭 오봉병, 8폭 오봉병 등 다양한 형태가 있었다. 이들 오봉병의 형태는 대체로 다음과 같다. 우선 다섯 개의 산봉우리 중 가운데 것을 가장 크게 그려 중앙에 배치하였으며, 해와 달은 양 옆의 두 봉우리 사이에 해를 오른쪽에 달을 왼쪽에 배치하였다. 해와 달의 바로 아래 골짜기로부터 폭포가 한 번이나 두 번 굽이치며 떨어져 하얀 물거품을 일으키며 산 아래의 호수와도 같은 곳으로 떨어진다. 아울러 『시경』의 「천보」에 언급된 송백(松柏)이, 붉은 줄기와 가지를 보이는 네 그루의 소나무로 표현되어 각각 두 그루씩 바위 언덕에 대칭형을 형성하고 서 있다. 마지막으로, 산 앞의 물은 형식화 정도에 차이를 보이기는 하나 대체로 반복되는 커다란 비늘모양을 형성하고 사이사이로 산 아래에 보이는 것과 같은 위로 향한 물거품을 일으키는 양상을 띤다.

현존하는 20개의 오봉병을 회화 양식적 측면에서 분석하면 크게 세 부류로 구분지을 수 있다. 첫째는 오봉병의 모든 구성 요소가 극도로 형식화되고 평면화되어 강렬한 윤곽선과 색채를 보이며 평면에 문양을 형성하고 있는 것인데, 이 같은 양식적 특징은 8폭이나 6폭에 나타난다. 두 번째 부류는 산과 물결의 모습이 전혀 형식화되지 않고 색채도 청색과 녹색의 강한 대비가 아니라 음영을 가하면서 색채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부드럽고 자연스런 산봉우리의 느낌을 표현하려고 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부류의 오봉병은 회화 양식이 앞의 두 부류 어디에도 포함시키기 어려운 병풍들이다. 이처럼 세 부류로 나뉘는 오봉병은 기본적으로 청록산수화 양식에 그 근원을 두고 있다.

생활·민속 관련 사항

조선 후기에는 민간에서도 일종의 장식화로 민화의 범주에서 그려지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 이성미, 「御眞과 五峯山圖」, 『조선시대어진관계도감의궤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 명세나, 「조선시대 흉례도감의궤에 나타난 오봉병 연구」, 『미술사논단』28, 2009.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