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고목(橽古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7년 12월 10일 (일) 00:17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달고목 |
한글표제 | 달고목 |
한자표제 | 橽古木 |
관련어 | 단달고(單達古), 달고(橽古), 달고(達古), 달고(達固), 달구(達敺), 당달고(唐達古), 원달고(圓達古) |
분야 | 문화/예술/건축 |
유형 | 물품·도구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시대 |
집필자 | 신지혜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달고목(橽古木)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고종실록』 23년 4월 7일 |
땅을 다지는 데 사용되는 연장 중에서 나무로 만든 연장.
내용
달고(橽古)는 달구(達敺)라고도 하며, 집터 등의 건물의 기초를 다지는 데 사용되는 도구를 말한다. 이에 대한 표기는 달구(達敺), 달고(橽古, 達古, 達固) 등으로 다양하게 쓰였다. 달고는 나무로 만든 목달고와 돌로 만든 돌달고가 있다. 목달고의 경우는 한 사람, 혹은 두세 사람이 협동하여 두드릴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이다. 작은 목달고는 흙을 다지는 용도 외에도 초석을 놓거나, 건물의 구조재 짜임 부분을 두드리는 데에도 사용되었다.
돌달고는 손잡이로 새끼줄 등을 이용하여 달고패를 이루어 여러 사람이 두드릴 때 많이 사용하며 대규모 토축 공사에 쓰인다. 『화성성역의궤(華城城役儀軌)』에서는 ‘달구’라고 표기하며 나무달고와 돌달고의 그림이 수록되었다. 『순회세자상시봉원도감의궤(順懷世子上諡封園都監儀軌)』에서는 원달고(圓達古)·단달고(單達古)·당달고(唐達古) 등 형태에 따라 구분한 달고의 종류가 기록되기도 했다.
그림 달고목(좌측: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소장 사례, 우측: 화성성역의궤 달고 도설)
용례
初七日 議政府啓: 卽見補土堂上驪州牧使金明圭狀啓 則英陵寧陵局內汰落處 補築物力磨鍊後錄 請令廟堂稟處矣 其一 役處浩大 物力錢五千兩區劃事也 其一 抹木一千五百箇橽古木五百箇杻抹木四石巨薪一百五十駄網罟·空石二千立 分定各邑進排事也(『고종실록』 23년 4월 7일)
참고문헌
- 『순회세자상시봉원도감의궤(順懷世子上諡封園都監儀軌)』
- 국립민속박물관, 『건축장인의 땀과 꿈』, 1999.
- 경기문화재단 편집부, 『화성성역의궤 건축용어집』, 경기문화재단, 2007.
- 김왕직, 『알기 쉬운 한국건축용어사전』, 동녘,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