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악(細樂)"의 두 판 사이의 차이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7년 12월 9일 (토) 22:37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세악 |
한글표제 | 세악 |
한자표제 | 細樂 |
관련어 | 군악(軍樂), 군영(軍營), 도가(都家), 삼현육각(三絃六角), 세악수(細樂手), 오군영(五軍營), 취고수(吹鼓手), 표하군(標下軍) |
분야 | 문화/예술/음악 |
유형 | 의식·행사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후기 |
왕대 | 조선후기 |
집필자 | 이정희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세악(細樂)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정조실록』16년 2월 28일 |
조선후기 군영에 설치된 세악수(細樂手)라는 악대 또는 세악수가 연주하는 음악.
개설
조선후기 군영에 신설된 악대의 하나이며, 그 악대가 연주하는 음악까지 포괄하는 의미로 쓰였다. 이들은 무관이 입던 공복인 푸른색의 청철릭을 입었다. 섬세한 가락을 표현할 수 있는 악기들로 편성되어 다양한 악곡을 연주할 수 있었다. 군인과 민간인의 성격을 동시에 지닌 채 궁중, 군영, 민간을 넘나들며 다양하게 활동하였다.
연원 및 변천
명나라 군대의 영향으로 병자호란 이후 17세기 후반부터 군영에 설치되었다. 군영뿐 아니라 궁중과 민간에서도 연주하여 활동 영역이 넓었다. 20세기 이후 세악수라는 악대는 사라졌지만, 그들의 악대 편성이었던 삼현육각의 연주 전통은 지금까지도 남아있다.
절차 및 내용
세악수는 기본적으로 군영에 소속된 악대였다. 중앙 군영의 경우 장용영·훈련도감·금위영·어영청·용호영·수어청·총융청·경기읍영 등 8영에 배치되었으며 표하군(標下軍) 소속이었다. 표하군은 주요 감영의 부속 기구였다. 또한 도가(都家)라는 자치 기구를 조직하여 민간에서도 활발하게 연주 활동을 펼치기도 하였다. 무당들과도 연계되어 있어 무속음악의 현장에서도 음악 활동을 펼쳤으며 민간의 풍류에 참여할 정도로 활동 영역이 넓었다. 반군반민(半軍半民)의 이중적 성격을 지녔던 것이다.
이들이 사용했던 악기는 피리 2명, 대금·해금·장구·북 등은 각 1명으로 이루어진 삼현육각 편성이었다. 삼현육각 한 편성을 한 단위로 삼아 패(牌)라고 칭하였고 패의 우두머리를 패두(牌頭)라고 불렀다. 군영의 규모에 따라 한 패에서 네 패까지 설치되는 등 유연하게 운영되었다.
이러한 악기 구성은 군영에 소속되었던 또 다른 악대였던 취고수와는 성격이 다르다. 취고수는 세악수의 짝이 되는 악대였다. 취고수도 군영에 소속된 악대였고, 군인들이 악대의 구성원으로 활동하였다. 그러나 취고수는 대각(大角)·나각(螺角)·나발[喇叭]·호적(胡笛)·솔발(摔鈸)·자바라[啫哱囉]·점자(點子)·금(金)·정(鉦)·나(鑼)·고(鼓) 등 장거리 이동에 편리한 관악기와 타악기로 편성되었다.
취고수의 악기들은 호적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합주 소리가 크고 호방한 반면 세악수의 악기는 음량이 작은 악기들로 구성되었고, 섬세한 표현이 가능하였다. 즉 세악수의 음악은 같은 군영에 짝으로 존재하는 취고수의 음악에 비해 섬세하며 음량의 크기가 작았기 때문에 세악(細樂)이라 칭하게 된 것이다.
세악수는 왕의 성 밖 행차, 지방 관찰사의 부임, 과거 급제자의 유가(遊街)(『정조실록』16년 2월 28일), 사신 행렬, 궁중·군영·지방관아·민간의 각종 연향, 민간의 풍류, 무속 집단의 음악 현장 등에서 다양하게 활약하였다. 그 결과 자연스럽게 세악수의 음악은 군영뿐 아니라 궁중과 민간의 영역으로까지 확대되었고, 오늘날에는 삼현육각 음악이라는 명칭 속에 그 자취가 남아서 전승되고 있다.
세악수가 연주했던 악곡 중 궁중의 행사와 관련된 악곡으로는 취타·길군악·길타령·별우조타령·군악 등이 전한다. 민간의 행사에서 연주했던 악곡으로는 삼현영산회상·긴염불·자진염불·허튼타령·굿거리·경풍년·염양춘·수룡음·도드리·닷장 등이 있다.
세악수는 취고수와 함께 군영의 음악 문화를 창출하였다는 점, 궁중과 민간에서 광범위하게 활동하면서 조선후기의 다양한 음악 수요에 부응하는 역할을 담당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 『육전조례(六典條例)』
- 『원행을묘정리의궤(園幸乙卯整理儀軌)』
- 『장용영고사(壯勇營故事)』
- 『만기요람(萬機要覽)』
- 『은대편고(銀臺便攷)』
- 이숙희, 『조선후기 군영악대』, 태학사, 2007.
- 우에무라 유키오, 「조선후기 세악수의 형성과 전개」, 『한국음악사학보』 11집, 한국음악사학회, 1993.
- 우에무라 유키오, 「19세기말의 취고수와 세악수」, 『한국음악사학보』 20집, 한국음악사학회, 1998.
- 이보형, 「향제 삼현육각 소고」, 『文化財』, 문화재청, 1982.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