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성불사(양양)]] |
− | | + | *[[성불사(사리원)]] |
− | {{개념용어|대표표제=성불사|한글표제=성불사|한자표제=成佛寺|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관련어=나옹화상(懶翁和尙), 도선국사(道詵國師), 수륙재(水陸齋), 여제(厲祭)|분야=문화/종교/불교|유형=개념용어|지역=황해도 사리원시 강성동 정방산(正方山)|시대=|왕대=|집필자=이종수|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5272|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ca_10712002_002 『태종실록』 7년 12월 2일], [http://sillok.history.go.kr/id/kfa_10101021_002 『단종실록』 1년 1월 21일], [http://sillok.history.go.kr/id/kia_10407016_001 『성종실록』 4년 7월 16일]}}
| |
− | | |
− | 조선초에 국행수륙재를 설행했던 황해도 사리원시정방산의 절.
| |
− | | |
− | =='''개설'''==
| |
− | | |
− | 성불사(成佛寺)는 도선 국사가 창건하고, 고려말 나옹 화상이 크게 중창하였다. 조선초에 태종이 11개 불교 종파를 7개 종파로 통폐합하고 88개의 명찰(名刹)을 지정할 때 자은종의 소속 사찰로 등장한다. 단종대에 황주 지방에 악질이 돌았을 때 성불사에서 수륙재를 지낸 후 병의 기세가 누그러졌다. 일제강점기에는 전국 30본산의 하나로 지정되었을 정도로 규모가 컸다. | |
− | | |
− | =='''내용 및 변천'''==
| |
− | | |
− | (1) 신라~고려시대
| |
− | | |
− | 황해도정방산에 있는 성불사의 내력은 1727년(영조 3)에 수월재현(水月載玄)이 지은 「황주성불사사적비(黃州成佛寺事蹟碑)」에 전해온다. 그 사적비에 따르면, 성불사는 898년(신라 효공왕 2)에 도선(道詵) 국사(國師)가 창건했다. 그리고 1375년(고려 우왕 2)에 나옹(懶翁) 화상이 크게 중창하여 부속 암자가 10채이고 석탑이 15개에 이르렀으며 1,000여 명의 승려들이 거주하였다고 한다.
| |
− | | |
− | (2) 조선전기
| |
− | | |
− | 조선초에 태종이 11개 불교 종파를 7개 종파로 통폐합하고 각 종파의 88개 명찰(名刹)을 지정할 때 성불사는 [[자은종(慈恩宗)]]에 소속되었다([http://sillok.history.go.kr/id/kca_10712002_002 『태종실록』 7년 12월 2일]). 그리고 1453년(단종 1)에 황해도 황주(黃州) 사람들이 왕에게 아뢰기를, 황주 지방에 악질(惡疾)이 나돌아 관찰사가 왕에게 아뢰고 성불사에서 [[수륙재(水陸齋)]]를 설행하고 난 후 병의 기세가 누그러졌으니, 성불사에 전지(田地)를 지급하고 매년 봄·가을로 관리를 보내 제사하게 해달라고 하였다. 이에 단종은 예조의 건의를 받아들여 봄·가을로 [[여제(厲祭)]]를 행하도록 하였다([http://sillok.history.go.kr/id/kfa_10101021_002 『단종실록』 1년 1월 21일]). 그리고 성종대에는 비구니와 사대부가의 과부들이 무리를 거느리고 성불사에 가서 법회를 거행하여 문제가 되기도 하였다([http://sillok.history.go.kr/id/kia_10407016_001 『성종실록』 4년 7월 16일]).
| |
− | | |
− | (3) 조선후기~일제강점기
| |
− | | |
− | 1646년(인조 24)에 극락전에서 발생한 화재로 전각들이 소실(燒失)되었지만 1650년(효종 1)에 언택(彦澤)이 중수하였다. 1684년(숙종 10)에 도행(道行)이 400근의 큰 종을 만들었고, 1709년(숙종 35)에 육갑(六甲)이 명부상(冥府像)을 만들었으며, 1751년(영조 27)에 찬훈(贊訓) 대사가 중수하였다.
| |
− | | |
− | 일제강점기에 성불사는 30본산의 하나로 지정되어 20개의 말사와 1개의 산내말사를 관할하였으며, 1924년에 주지 이보담(李寶潭)이 명부전·향로전·청풍루·극락전·승방을 다시 지었다. 그 후 한국전쟁으로 폐허가 되었지만 1957년에 다시 복구되어 현재 극락전·응진전·명부전·산신각·운하당·청풍루·5층석탑 등을 갖추고 있다고 한다.
| |
− | | |
− | =='''참고문헌'''==
| |
− | *「황주성불사사적비(黃州成佛寺事蹟碑)」 | |
− | *사찰문화연구원 편저, 『북한사찰연구』, 한국불교종단협의회, 1993.
| |
− | *정창현, 「황해북도 정방산과 숭덕산」, 『민족21』제139호, (주)민족이십일, 2012.
| |
− | | |
− | =='''관계망'''==
| |
− | <html><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encysilloknetwork.aks.ac.kr/Content/index?id=na00015272"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 |
− | | |
− | [[분류:문화]][[분류:종교]][[분류:불교]][[분류:개념용어]][[분류:황해도 사리원시 강성동 정방산(正方山)]]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