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고(路鼓)"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8년 1월 3일 (수) 00:51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노고 |
한글표제 | 노고 |
한자표제 | 路鼓 |
분야 | 문화/예술/음악 |
유형 | 물품·도구 |
집필자 | 이정희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노고(路鼓) |
제례악을 연주할 때 사용된 북.
개설
노고(路鼓)는 조선시대부터 대한제국기와 일제강점기를 거쳐 현재까지 인귀(人鬼)에게 올리는 제사에서 사용되는 북이다.
연원 및 변천
1116년(고려 예종 11) 중국 송나라에서 대성아악(大晟雅樂)이 전래될 때 유입된 악기 목록에 없으며 고려시대에 사용된 예가 드러나지 않는다. 조선 세종대부터 구체적인 용례가 나타나며 그 후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선농(先農), 선잠(先蠶), 우사(雩祀), 문선왕(文宣王) 제향 때 노도(路鼗)와 함께 진설되어 제례악을 연주하였다. 현재에는 문묘제례에서만 쓰이고 있다. 노고는 인귀의 제향에 사용되며, 노(路)는 사람이 다니는 길[人道]이니, 노에는 사람이 행해야 할 바른 도리라는 뜻이 담겨 있다.
형태
노고는 붉은[紅] 칠을 한 북 2개를 엇갈려 매달아놓은 모습이다. 양면을 칠 수 있으므로 북면은 모두 4면이다. 단,『세종실록』 「오례」의 노고 그림에는 북 2개가 나란히 매달려 있어 북을 매단 방식이 다른 것과 상이하다. 성종대 『악학궤범』에 기록된 노고의 치수는 가죽면 지름 각각 1자 1치 7푼, 통 길이 각각 3자 8치 8푼이다. 노고는 헌가에 진설되어 진고(晉鼓)와 동시에 치는 방식으로 연주하였다.
참고문헌
- 『주례(周禮)』
- 『악서(樂書)』
- 『악학궤범(樂學軌範)』
- 『춘관통고(春官通考)』
- 『대한예전(大韓禮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