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견낭자(綵絹囊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XML 가져오기) |
(XML 가져오기)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의복|대표표제=채견낭자|한글표제=채견낭자|한자표제=綵絹囊子|대역어=|상위어=낭자(囊子)|하위어=|동의어=|관련어=오방낭자(五方囊子)|분야=생활·풍속/의생활/제구|유형=의복|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왕대=|집필자=최은수|용도=|시기=|관련의례행사=|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6698|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da_12805025_001 『세종실록』 28년 5월 25일]}} | {{의복|대표표제=채견낭자|한글표제=채견낭자|한자표제=綵絹囊子|대역어=|상위어=낭자(囊子)|하위어=|동의어=|관련어=오방낭자(五方囊子)|분야=생활·풍속/의생활/제구|유형=의복|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왕대=|집필자=최은수|용도=|시기=|관련의례행사=|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6698|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da_12805025_001 『세종실록』 28년 5월 25일]}} |
2017년 12월 9일 (토) 20:58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채견낭자 |
한글표제 | 채견낭자 |
한자표제 | 綵絹囊子 |
상위어 | 낭자(囊子) |
관련어 | 오방낭자(五方囊子) |
분야 | 생활·풍속/의생활/제구 |
유형 | 의복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집필자 | 최은수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채견낭자(綵絹囊子)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세종실록』 28년 5월 25일 |
채견(綵絹)으로 만든 주머니.
내용
주머니에는 주머니 둘레가 둥근 염낭(두루주머니)과 양옆에 모가 나 있는 귀주머니가 있다. 여기에 수를 놓고 매듭과 오색 술을 달아 모양을 아름답게 꾸몄고, 주머니의 재료나 색깔 등으로 신분을 나타내기도 했다. 또 풍년과 평안한 생활을 기원하는 뜻에서 곡식을 태운 재를 넣은 주머니를 국왕이 신하들에게 주었으며, 이것은 하나의 연례행사가 되었다.
용례
流品朝士及有蔭子弟外 毋得用紗羅綾段綵絹囊子護(滕)〔膝〕眞絲帶猠皮靴唐皮草鞋(『세종실록』 28년 5월 25일)
참고문헌
- 민길자, 『전통옷감』, 대원사, 1997.
- 조효숙, 「김여온 묘의 유물을 통해 본 17세기의 직물문화」, 『17세기 무관옷 이야기』, 안동대학교 박물관,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