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견(生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XML 가져오기) |
(XML 가져오기)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 {{의복|대표표제=생견|한글표제=생견|한자표제=生絹|대역어=|상위어=견(絹)|하위어=|동의어=생명주(生明紬)|관련어=활생견(闊生絹)|분야=생활·풍속/의생활/직물|유형=의복|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왕대=태종~연산군|집필자=윤양노|용도=|시기=|관련의례행사=|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3407|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ca_10805004_002 『태종실록』 8년 5월 4일], [http://sillok.history.go.kr/id/kca_10805004_002 『태종실록』 8년 5월 4일]}} | |
− | {{의복|대표표제=생견|한글표제=생견|한자표제=生絹|대역어=|상위어=견(絹)|하위어=|동의어=생명주(生明紬)|관련어=활생견(闊生絹)|분야=생활·풍속/의생활/직물|유형=의복|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왕대=태종~연산군|집필자=윤양노|용도=|시기=|관련의례행사=|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3407|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ca_10805004_002 『태종실록』 8년 5월 4일],[http://sillok.history.go.kr/id/kca_10805004_002 『태종실록』 8년 5월 4일]}} | ||
누에고치에서 나온 생사(生絲)를 정련·표백하지 않고 짠 비단. | 누에고치에서 나온 생사(生絲)를 정련·표백하지 않고 짠 비단.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관계망'''== | =='''관계망'''== | ||
− | <html><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script><input type="button" value=" | + | <html><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encysilloknetwork.aks.ac.kr/Content/index?id=na00003407"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
[[분류:생활·풍속]][[분류:의생활]][[분류:직물]][[분류:의복]][[분류:대한민국]][[분류:조선]][[분류:태종~연산군]] | [[분류:생활·풍속]][[분류:의생활]][[분류:직물]][[분류:의복]][[분류:대한민국]][[분류:조선]][[분류:태종~연산군]] |
2017년 12월 9일 (토) 20:56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생견 |
한글표제 | 생견 |
한자표제 | 生絹 |
상위어 | 견(絹) |
동의어 | 생명주(生明紬) |
관련어 | 활생견(闊生絹) |
분야 | 생활·풍속/의생활/직물 |
유형 | 의복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왕대 | 태종~연산군 |
집필자 | 윤양노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생견(生絹)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태종실록』 8년 5월 4일, 『태종실록』 8년 5월 4일 |
누에고치에서 나온 생사(生絲)를 정련·표백하지 않고 짠 비단.
내용
생견(生絹)은 생명주(生明紬)라고도 하는데, 조선에서 보낸 방물에 대한 중국의 답례품에 상당량의 생견이 포함되어 있었다. 1408년(태종 8) 당시 생견 1필의 가치는 쌀 3석(石)에 해당되는데 이는 명나라 사신 황엄(黃儼) 등이 금강산(金剛山) 표훈사(表訓寺)의 반승(飯僧) 비용으로 준 견(絹) 30필에 대해 채견(綵絹) 1필은 쌀 4석, 생견 1필은 쌀 3석으로 바꿔 공급해 줄 것을 요청한 것에서 알 수 있다(『태종실록』 8년 5월 4일).
중국 황제는 세종의 즉위를 인정하면서 축하 잔치에 술과 과일을 대신하는 잔치 비용으로 생견 300필과 안팎 옷감 30필 및 양 1,000마리를 하사하였다. 중국에서는 일반 폭과 폭넓은 활생견(闊生絹)도 만들었는데 문종 때 활생견 100필을, 예종 때는 500필을 하사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용례
綵絹一匹米四石 生絹一匹米三石 以供僧徒(『태종실록』 8년 5월 4일).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