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평옹주(和平翁主)"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차이 없음)

2017년 12월 22일 (금) 01:44 판




총론

[1727년(영조 3)~1748년(영조 24) = 22세]. 조선의 제 21대 임금인 영조(英祖)의 딸로 옹주.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거주지는 서울이다. 어머니는 찬성(贊成)에 증직된 이유번(李楡蕃)의 딸 이영빈(李暎嬪)이다. 남동생은 사도세자(思悼世子)이며, 여동생은 화협옹주(和協翁主)화완옹주(和緩翁主), 그리고 일찍 세상을 떠난 3명이 있다. 부마는 반남 박씨(潘南朴氏)금성위(錦城尉)박명원(朴明源)이다. 정조(正祖)의 친고모이기도 하다.

출생과 혼인생활

1727년(영조 3) 영조와 이영빈의 사이에서 1남 6녀 가운데 장녀로 태어난 화평옹주(和平翁主)는 5세 때 천연두를 앓았다. 이때 영조는 추국을 정지하고 옹주의 마마를 치료한 두의(痘醫) 이엽(李燁) 등을 가자(加資)하고 상을 내렸다.(『영조실록』 7년 1월 12일) 1735년(영조 11) 화평옹주의 집을 짓기 위하여 영조는 인조(仁祖)의 친동생인 능원대군(綾原大君)의 옛 집 이현궁(梨峴宮)을 수리하게 하였다.(『영조실록』 11년 4월 4일) 이어 화평옹주는 1738년(영조 14) 예조 참판(參判)박사정(朴師正)의 아들인 박명원(朴明源)과 혼인하였으며, 부마 박명원은 금성위에 봉해졌다.(『영조실록』 14년 2월 30일)

화평옹주는 자신의 마음을 잘 알아준다며 영조가 특히 사랑한 옹주였다. 그런데 1748년(영조 24) 병에 걸려 위독해진 화평옹주가 가인(家人)을 시켜 영조에게 다시 천안(天顔)을 볼 수 없을 것 같다는 소식을 전하자, 영조는 옹주의 집으로 바로 거둥하였다. 그러나 화평옹주는 끝내 22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났고, 영조는 빈소(殯所)에서 통곡하면서 슬픔을 억제하지 못하였다. 이 날 날씨가 매우 더웠는데도 영조는 환궁하지 않고 밤을 새웠다.(『영조실록』 24년 6월 24일)

영조는 화평옹주의 장례일이 가까워지면서 신하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여러 차례 옹주의 집에 행행하였는데, 부마 박명원의 만류도 듣지 않을 정도였다.(『영조실록』 24년 7월 3일) 그리하여 전후 곡림(哭臨)한 것이 모두 다섯 번이었다.(『영조실록』 24년 윤7월 29일) 그리고 화평옹주의 장례를 지냈을 때 영조가 내린 의물(儀物)의 성대함은 국장(國葬)에 버금갈 정도였다. 분묘(墳墓)를 만드는 데만도 수개월이 걸려 주위 백성들이 피해를 보기도 하였다.(『영조실록』 24년 8월 2일) 이후에도 영조는 어딘가에 갔다 환궁할 때면 화평옹주를 잊지 못하여 그 집을 방문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고, 이것이 문제가 되기도 하였다.(『영조실록』 25년 5월 5일),(『영조실록』 25년 5월 13일),(『영조실록』 25년 6월 23일),(『영조실록』 27년 1월 9일)

묘소 및 후손

화평옹주의 묘소는 경기도 파주시 파주읍 파주1리 산 57-1에 있으며, 부마 박명원과 합장하였다. 1790년(정조 14) 영조의 친필로 비문을 쓴 묘비가 세워졌다.

화평옹주와 부마 박명원의 사이에는 자식이 없었으므로, 부마 박명원의 맏형 박흥원(朴興源)의 3남 박수현(朴壽賢)을 계후로 삼았다.(『영조실록』 24년 6월 24일) 박수현은 뒤에 박상철(朴相喆)로 이름을 바꾸었다.

참고문헌

  • 『영조실록(英祖實錄)』
  • 『정조실록(正祖實錄)』
  • 『순조실록(純祖實錄)』
  • 『국조보감(國朝寶鑑)』
  •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記略)』
  • 『한중록(閑中錄)』
  • 『연암집(燕巖集)』
  • 『홍재전서(弘齋全書)』
  • 지두환, 『영조대왕과 친인척』, 역사문화,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