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단(貢緞)"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XML 가져오기)
 
1번째 줄: 1번째 줄:
 
+
  
 
{{의복|대표표제=공단|한글표제=공단|한자표제=貢緞|대역어=|상위어=단(緞)|하위어=|동의어=|관련어=금(衾), 의대(衣襨)|분야=생활·풍속/의생활/직물|유형=의복|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왕대=|집필자=이민주|용도=|시기=|관련의례행사=|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0605|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ua_15203006_012 『영조실록』 52년 3월 6일]}}
 
{{의복|대표표제=공단|한글표제=공단|한자표제=貢緞|대역어=|상위어=단(緞)|하위어=|동의어=|관련어=금(衾), 의대(衣襨)|분야=생활·풍속/의생활/직물|유형=의복|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왕대=|집필자=이민주|용도=|시기=|관련의례행사=|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0605|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ua_15203006_012 『영조실록』 52년 3월 6일]}}
14번째 줄: 14번째 줄:
  
 
=='''관계망'''==
 
=='''관계망'''==
<html><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script><input type="button" value="새로고침" onclick="reload();"><iframe src="http://encysilloknetwork.aks.ac.kr/Content/index?id=na00000605" width="100%" height="700px"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
<html><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encysilloknetwork.aks.ac.kr/Content/index?id=na00000605"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분류:생활·풍속]][[분류:의생활]][[분류:직물]][[분류:의복]][[분류:대한민국]][[분류:조선]]
 
[[분류:생활·풍속]][[분류:의생활]][[분류:직물]][[분류:의복]][[분류:대한민국]][[분류:조선]]

2017년 12월 9일 (토) 20:54 기준 최신판



경주자 조직으로 무늬 없이 짠 비단.

내용

공단(貢緞)은 무늬 없이 짠 비단으로, 소렴(小殮)·대렴(大斂)을 할 때와 재궁(梓宮)에 채워 놓을 의대(衣襨)와 이불을 만드는 데 사용된 직물이다. 1776년(영조 52) 예폐(禮幣)는 공단으로 장만하여야 한다고 하였으며, 실제 옥색공단 장의(長衣)·보라공단 장의, 백공단 대고(大袴), 남공단 협수의(夾袖衣)·보라공단 협수의, 남공단 중치막(中致莫)·연남공단 중치막, 남공단 도포(道袍), 초록공단 창의(氅衣)를 사용하였다. 또한 재궁의 빈자리를 보충하기 위하여 각색의 공단을 사용하였다. 1800년(정조 24)에도 유청공단 이불을 편 뒤에 곤룡포를 깔고, 그다음으로 초록 화한단 중치막을 깔았으며, 그다음에 옥색공단 장의를 깔았다. 이와 같이 조선시대 여러 가지 색깔의 공단은 의복과 이불 등에 사용되었다.

용례

申時行小 (중략) 〔殮〕禮 甫羅貢緞狹袖衣草綠有紋綾長背子玉色有紋緞中赤莫藍貢緞中赤莫豆綠有紋緞中赤莫豆綠有紋綾長衣軟藍貢緞中赤莫(『영조실록』 52년 3월 6일).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