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피화(白皮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XML 가져오기)
 
1번째 줄: 1번째 줄:
 
+
  
 
{{의복|대표표제=백피화|한글표제=백피화|한자표제=白皮靴|대역어=|상위어=담복(禫服), 상복(喪服)|하위어=|동의어=|관련어=담제(禫祭), 연제(練祭), 졸곡(卒哭)|분야=생활·풍속/의생활/이|왕실/왕실의례/흉례|유형=의복|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왕대=|집필자=이민주|용도=|시기=|관련의례행사=|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2394|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ia_10107024_009 『성종실록』 1년 7월 24일]}}
 
{{의복|대표표제=백피화|한글표제=백피화|한자표제=白皮靴|대역어=|상위어=담복(禫服), 상복(喪服)|하위어=|동의어=|관련어=담제(禫祭), 연제(練祭), 졸곡(卒哭)|분야=생활·풍속/의생활/이|왕실/왕실의례/흉례|유형=의복|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왕대=|집필자=이민주|용도=|시기=|관련의례행사=|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2394|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ia_10107024_009 『성종실록』 1년 7월 24일]}}
14번째 줄: 14번째 줄:
  
 
=='''관계망'''==
 
=='''관계망'''==
<html><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script><input type="button" value="새로고침" onclick="reload();"><iframe src="http://encysilloknetwork.aks.ac.kr/Content/index?id=na00002394" width="100%" height="700px"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
<html><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encysilloknetwork.aks.ac.kr/Content/index?id=na00002394"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분류:생활·풍속]][[분류:의생활]][[분류:이]][[분류:왕실]][[분류:왕실의례]][[분류:흉례]][[분류:의복]][[분류:대한민국]][[분류:조선]]
 
[[분류:생활·풍속]][[분류:의생활]][[분류:이]][[분류:왕실]][[분류:왕실의례]][[분류:흉례]][[분류:의복]][[분류:대한민국]][[분류:조선]]

2017년 12월 9일 (토) 20:49 기준 최신판



졸곡(卒哭) 후부터 길복(吉服)을 입기 전까지 상중(喪中)에 신는 흰색 가죽으로 만든 목이 긴 신.

내용

왕을 비롯하여 왕세자, 친자, 종친·문무백관이 졸곡 후 지내는 영사시제급조부의(迎賜諡祭及弔賻儀)·사시의(賜諡儀)·사제의(賜祭儀)·상제의(祥祭儀)·담제의(禫祭儀)를 치를 때 신는 흰색 가죽신이다.

용례

禮曹啓 世宗大王 文宗大王祥禫儀軌內 大祥日 (중략) 殿下權就齋殿 易服黲袍 翼善冠 烏犀帶 白皮靴 宗親 百官出就次 俱易服深染玉色圓領 烏紗帽 黑角帶 白皮靴 行祭如儀 禫日 殿下詣齋殿 具黲袍 翼善冠 烏犀帶 白皮靴(『성종실록』 1년 7월 24일).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