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진자(甲辰字)"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개념용어|대표표제=갑진자|한글표제=갑진자|한자표제=甲辰字|대역어=|상위어=금속활자(金屬活字)|하위어=|동의어=신묘자(辛卯字)|관련어...)
(차이 없음)

2017년 12월 14일 (목) 16:49 판


1484년(성종 15) 주자소에서 만든 금속활자.

개설

갑진자(甲辰字)는 1484년 8월 24일에 착수하여 7개월 만인 1485년(성종 16) 3월에 완성된 활자이다. 활자의 수는 약 30여만 자이며 자본(字本)은 궐내에 소장되어 있던 『구양문충공집』과 『열녀전』의 글자를 바탕으로 하였고, 부족한 것은 사맹박경(朴耕)이 닮게 써서 보충하게 하였다. 이전의 금속활자에 비하여 크기가 작고 정교한 것이 특징이다.

내용 및 특징

1484년 8월 왕이 승정원에 전교를 내린 글에 갑진자 주조의 배경을 적고 있다. 이에 따르면 갑인자(甲寅字)을해자(乙亥字)는 매우 정호(精好)하기는 하나 자체(字體)가 너무 커서 인행(印行)하는 서적이 적은 분량의 책이라도 종이가 많이 들고 권질이 많아 불편함이 있다는 것을 언급하였다. 또한 이미 세월이 오래되어 산락(散落)하고 없어져서 비록 보주(補鑄)하여 사용하여도 그 인쇄가 처음 주조하였을 때와 같이 깨끗하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김종직(金宗直)이 쓴 갑진자의 주자발(鑄字跋)에는 앞서 언급한 이유와 더불어 갑진자에 바로 앞서 주조하였던 을유자(乙酉字)의 자양(字樣)이 단정하지 못하여 인쇄하기 꺼려했다고 하였다. 즉 갑진자는 갑인자·을해자보다 활자가 작으면서도 명정(明正)한 활자를 주조함과 동시에 인쇄되는 종이의 소모량을 줄이고자 하는 의도에서 주조된 활자라 할 수 있다.

갑진자 활자의 주조는 1484년 8월 24일에 착수하여 12월에 대자(大字)의 주조를 마쳤고, 소자(小字)는 1485년 3월에 완성하여 약 7개월이 소요되었으며, 활자의 수는 대자·소자 합하여 약 30여만 자를 주조하였다. 갑진자의 주조에 관한 사항은 일반적으로 김종직의 주자발에서 언급한 1484년의 주조설을 따른 것이다.

또 다른 기록으로 『용재총화』 권7에 “성종 2년(1471)에 신묘자(辛卯字)가 주성되었다”는 기록이 있지만 이 자료에서도 “『구양공집』을 자본으로 하고, 자체가 경자자(庚子字)보다 작으며 더욱 정밀하다”라고 한 것으로 보아 동일한 활자에 대하여 그 주조 연대를 잘못 계산한 것으로 보고 있다.

주조에 관여한 인물로, 감동관은 행상호군이유인(李有仁), 도승지권건(權建) 등이었고, 실무는 전적이세경(李世卿), 별좌이점(李坫), 전판관유용평(劉用平), 박사유정수(柳廷秀), 학정안윤덕(安潤德), 정자김석정(金石精) 등이 담당하였다.

갑진자는 이전의 금속활자에 비하여 크기가 작고 정교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특히 갑진자의 소자는 조선시대 주조된 금속활자 중에서 가장 작은 크기여서 당시 활자 주조 기술의 빼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된 시기는 임진왜란 이전까지 약 100여 년이며, 이는 갑인자와 을해자 다음으로 오래 사용된 것이다. 오랜 기간에 걸쳐 사용되었기 때문에 그 인본(印本)이 여러 종 남아 있는 편인데, 현재 약 60여 종이 파악되고 있다.

알려진 인본으로는 『찬주분류두시』·『동국통감』·『백씨문집』을 비롯하여 『청구풍아』·『신편고금사문유취』·『수계선생비점맹호연집』·『사숙재집』·『사가문집』·『사월』·『송조명신언행록』·『동래선생당서상절』·『논어집주중정집석장도통의대성』·『옥기미의』·『오조명신언행록』·『서산선생진문충공문장정종』·『동래선생십칠사상절』·『당시품휘』 등이 있다.

인본 중에 『논어집주중정집석장도통의대성』은 『사서장도통의대성』 등의 서명으로도 남아 있으며, 『논어』 외에 다른 경서도 같은 체제와 활자로 간행한 것이다. 『동래선생당서상절』도 당서 외에 다른 중국의 역사서와 함께 동일한 방식으로 간행된 것이다. 갑진자로 간행된 서책의 주제는 시문집과 경서류가 많다. 또한 그 규모는 대체로 분량이 거질(巨帙)인 서적의 간행에 쓰이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물자를 절약한다는 활자의 주조 목적에도 부합하는 것이다.

변천

갑진자가 사용된 시기는 성종 때 주조된 이후 임진왜란 이전까지 약 100여 년으로, 이는 갑인자와 을해자 다음으로 오래 사용된 것이다. 주조 이후 초기의 인본을 살펴보면 작고 해정(楷正)한 글씨체가 두드러지지만, 중종조 이후의 인본은 활자의 마멸이 나타나고 목활자 등으로 보자(補字)한 것을 자주 볼 수 있다.

의의

갑진자는 갑인자 계열보다 활자 크기가 훨씬 작아서 인출한 책의 크기 또한 역대의 인출본에 비하여 비교적 작은 편이다. 조선시대 금속활자 중에서 크기가 가장 작은 활자로서 인쇄 상태는 해정하며, 시문집과 경서·유서류 서적의 간행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활자의 크기를 작게 하여 인출에 소요되는 종이의 소모량을 대폭 절감한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용재총화(慵齋叢話)』
  • 김두종, 『한국고인쇄기술사』, 탐구당, 1973.
  • 천혜봉, 『고인쇄』, 대원사, 1998.
  • 천혜봉, 『한국 서지학』, 민음사, 2006.
  • 『금속활자 주조 및 인쇄기술사 복원 연구 결과보고서』, 청주고인쇄박물관, 2006.
  • 『조선왕실 주조 금속활자 복원사업 결과보고서』, 청주고인쇄박물관, 2007.

관계망

<![C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