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법주사(보은)]] |
− | | + | *[[법주사(군위)]] |
− | {{개념용어|대표표제=법주사|한글표제=법주사|한자표제=法住寺|대역어=|상위어=자복사(資福寺)|하위어=|동의어=|관련어=심지(心知), 은점(恩霑), 조계종(曹溪宗), 은해사(銀海寺), 자복사찰(資福寺刹), 육문(六文),|분야=문화/종교/불교|유형=개념용어|지역=경상북도 군위군 소보면|시대=신라~현대|왕대=|집필자=윤기엽|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428|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ca_10712002_002 『태종실록』 7년 12월 2일]}}
| |
− | | |
− | 태종대 88개 자복사 가운데 하나로, 경상북도 군위군청화산에 있는 절.
| |
− | | |
− | =='''개설'''==
| |
− | | |
− | 법주사(法住寺)는 신라 때 창건되었으며, 고려후기에 일연이 [[총림(叢林)]]을 설치하였고, 조선 태종 때 조계종의 자복사찰(資福寺刹)로 지정되었다. 인조 때 화재로 소실되었으나 이후 몇 차례의 중건이 있었다. 현재는 비구니 수행 도량으로, 1998년 육문(六文)이 주지로 부임하여 비구니선원 개원불사(開院佛事)를 추진하였고, 최근 청화선원 등을 완공했다. | |
− | | |
− | =='''내용 및 변천'''==
| |
− | | |
− | (1) 창건
| |
− | | |
− | 신라 소지왕 때 심지(心知) 또는 은점(恩霑)이 창건했다고 전해오나 신라에 불교가 공인되기 전이어서 신빙성이 없다. 801년(신라 애장왕 1)에 창건되었다는 설도 있다. 보조지눌(普照知訥)이 주석했고 일연(一然)이 [[총림(叢林)]]을 설치했다는 기록이 있어서 고려후기 법주사의 사세(寺勢)를 짐작하게 해준다.
| |
− | | |
− | (2) 조선시대
| |
− | | |
− | 1407년(태종 7) 12월, 군위(軍威) 법주사(法住寺)가 조계종의 자복사찰(資福寺刹)로 지정되었다([http://sillok.history.go.kr/id/kca_10712002_002 『태종실록』 7년 12월 2일]). 당시 조선시대의 불교 종파는 이전의 11개(혹은 12개)에서 [[조계종(曹溪宗)]], [[천태종(天台宗)]], [[화엄종(華嚴宗)]], [[자은종(慈恩宗)]], [[중신종(中神宗)]], [[총남종(摠南宗)]], [[시흥종(始興宗)]] 등 7개 종파로 정리되었는데, 군위 법주사는 조계종에 소속된 자복사찰이었다. 자복사찰은 나라의 안녕과 고을의 복을 빌기 위하여 지정한 사찰이었다. 고려후기에 융성했던 법주사가 조선 초에도 지방의 명찰(名刹)이었음을 알 수 있다.
| |
− | | |
− | 1623년(인조 1) 화재로 소실되었고, 1660년(현종 1)에 재건하였다. 1690년(숙종 17) 보광명전을 중건했다.
| |
− | | |
− | (3) 현대
| |
− | | |
− | 1977년 보광명전의 용마루를 중수할 때 『화엄경』, 『법화경』, 『전등록』 등 귀중한 불교 경서가 많이 발견되었다. 발견된 기록에 의하면 본당 서편에 손상된 불상인 파불(破佛) 15좌를 매몰하고 5불상은 대법당 앞에 매몰했다고 한 것으로 보아 화재나 재난을 당하기 전 이 절의 규모가 매우 웅대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 |
− | | |
− | 현재는 비구니 수행 도량으로, 1998년 육문이 주지로 부임한 후 비구니선원 개원불사(開院佛事)를 추진하여 그 면모를 새롭게 하고 있다. 2001년 보광명전을 새로 건립하고, 2003년 명부전과 산신각을 세웠다. 최근에 설선당, 청화선원 등을 완공했다.
| |
− | | |
− | =='''문화재'''==
| |
− | | |
− | 법주사 왕맷돌(경상북도 민속자료 제112호)은 국내에서 발견된 맷돌 중 가장 큰 것으로 유명하다. 원래 절에서 200m 떨어진 곳에 있던 것을 현 위치로 옮겨온 것이라고 한다. 암돌, 숫돌 모두 지름 115㎝, 두께 15.5㎝의 크기에 구멍이 4군데나 뚫려 있는 원형의 석조물이다. 약 300년 전인 조선후기 때 만들어진 맷돌로 추정하고 있는데, 당시 법주사의 사세를 짐작하게 해주는 유물이다.
| |
− | | |
− | 법주사 5층석탑(法住寺 五層石塔,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7호)은 높이 3.56m의 석탑으로 2층 기단 위에 쌓은 탑이다. 현재 위층 기단과 탑신의 4층 몸돌·지붕돌이 없는 상태이다. 고려시대의 석탑으로 부처님의 진신사리(眞身舍利)를 모신 석탑이라고 전해온다.
| |
− | | |
− | =='''참고문헌'''==
| |
− | *문화재연구소 편, 『문화유적총람』, 1977.
| |
− | | |
− | =='''관계망'''==
| |
− | <html><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encysilloknetwork.aks.ac.kr/Content/index?id=na00014428"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 |
− | | |
− | [[분류:문화]][[분류:종교]][[분류:불교]][[분류:개념용어]][[분류:경상북도 군위군 소보면]][[분류:신라~현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