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복(儒服)"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XML 가져오기)
 
1번째 줄: 1번째 줄:
 +
  
 
+
{{의복|대표표제=유복|한글표제=유복|한자표제=儒服|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유생복(儒生服)|관련어=분포단령(粉袍團領), 청금(靑衿)|분야=생활·풍속/의생활/의복|유형=의복|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대한제국|왕대=태조~고종|집필자=윤양노|용도=|시기=|관련의례행사=|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5125|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ia_10811001_001 『성종실록』 8년 11월 1일], [http://sillok.history.go.kr/id/kra_11002024_003 『현종실록』 10년 2월 24일], [http://sillok.history.go.kr/id/kua_10303017_003 『영조실록』 3년 3월 17일], [http://sillok.history.go.kr/id/kea_10109018_001 『문종실록』 1년 9월 18일]}}
{{의복|대표표제=유복|한글표제=유복|한자표제=儒服|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유생복(儒生服)|관련어=분포단령(粉袍團領), 청금(靑衿)|분야=생활·풍속/의생활/의복|유형=의복|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대한제국|왕대=태조~고종|집필자=윤양노|용도=|시기=|관련의례행사=|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5125|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ia_10811001_001 『성종실록』 8년 11월 1일],[http://sillok.history.go.kr/id/kra_11002024_003 『현종실록』 10년 2월 24일],[http://sillok.history.go.kr/id/kua_10303017_003 『영조실록』 3년 3월 17일],[http://sillok.history.go.kr/id/kea_10109018_001 『문종실록』 1년 9월 18일]}}
 
  
 
[[유학(幼學)]]·[[처사(處士)]]·교생(校生)·생원(生員)·진사(進士) 등 유학을 공부하는 선비들이 입던 옷.
 
[[유학(幼學)]]·[[처사(處士)]]·교생(校生)·생원(生員)·진사(進士) 등 유학을 공부하는 선비들이 입던 옷.

2017년 12월 9일 (토) 20:45 기준 최신판



유학(幼學)·처사(處士)·교생(校生)·생원(生員)·진사(進士) 등 유학을 공부하는 선비들이 입던 옷.

내용

조선시대에 발간된 문집류에서는 유복(儒服)이 대부분 유생복(儒生服)으로 표기되어 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유생의 관복 개정과 왕세자의 청강 및 성균관에 입학할 때의 옷차림과 관련한 기록들이 많이 남아 있다.

1477년(성종 8)에는 유생들에게 길거리에서 갓[笠]을 쓰고 청금(靑衿)을 입도록 정하였으며(『성종실록』 8년 11월 1일), 1669년(현종 10)에는 유생의 관복을 분포단령(粉袍團領) 및 일상시의 유건(儒巾)으로 정하였다(『현종실록』 10년 2월 24일).

또한 1742년(영조 18) 기사를 보면, 왕세자는 유복 차림으로 성균관에서 청강을 하였고(『영조실록』 3년 3월 17일), 때로는 왕세자를 독려하는 차원에서 임금이 영화당(映花堂)에 나아가 왕세자에게 유복 차림으로 진현(進見)하라고 명하기도 하였다. 세자가 성균관에 입학할 때에는 유관(儒冠)에다 유복 차림으로 여러 유생들과 마주서서 세 번 읍을 하는데, 이는 군신(君臣)·부자(父子)·장유(長幼)에 관한 세 가지의 좋은 도리를 알게 하려는 의도였다.

용례

服僧服而爲之 則謂之佛事 服儒服而爲之 則謂之祭祀(『문종실록』 1년 9월 1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