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삼(汗衫)"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XML 가져오기) |
(XML 가져오기)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의복|대표표제=한삼|한글표제=한삼|한자표제=汗衫|대역어=|상위어=저고리[赤古里]|하위어=|동의어=광한삼(廣汗衫), 활한삼(闊汗衫)|관련어=광견한삼(廣絹汗衫), 면주한삼(綿紬汗衫), 백초한삼(白綃汗衫), 적삼(赤衫), 초한삼(綃汗衫)|분야=생활·풍속/의생활/의복|유형=의복|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왕대=|집필자=최은수|용도=|시기=|관련의례행사=|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7534|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ca_10504017_003 『태종실록』 5년 4월 17일]}} | ||
− | + | ① 상의, 저고리. | |
− | 여자 예복인 원삼이나 활옷의 소매 끝에 댄 흰색 옷감 또는 궁중무용을 할 때 무동(舞童)이나 여기(女妓)가 손목에 묶어 착용한 긴 소매. | + | ② 속적삼의 일종. |
+ | |||
+ | ③ 여자 예복인 원삼이나 활옷의 소매 끝에 댄 흰색 옷감 또는 궁중무용을 할 때 무동(舞童)이나 여기(女妓)가 손목에 묶어 착용한 긴 소매. | ||
=='''내용'''== | =='''내용'''== | ||
− | 거들지라고도 한다. 웃어른에게 손을 보이지 않는 예를 갖추기 위하여 만든 것이다. 원삼에는 홑으로 하였고, 활옷에는 겹으로 하였으며, 백비도 하였다. 보통 한삼 너비는 30~50㎝이며 한삼만 교체하여 사용하였다. 또 궁중무용을 할 때 무용복 손목에 묶어 착용한 긴 소매도 한삼이라 하였다. 흰색의 백한삼과 청색·황색·홍색·백색·녹색으로 된 색동 한삼이 있는데, 처용무에는 백한삼, 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무고(舞鼓)·춘앵전(春鶯囀)·보상무(寶相舞) 등에는 색동한삼을 사용하였다. | + | ① 한삼(汗衫), 활한삼(闊汗衫), 광한삼(廣汗衫) 등은 피부 가까이에 닿도록 입었던 상의 종류로 추정된다. 그러나 여름에는 겉옷으로 입었을 가능성도 있다. 1405년(태종 5)에서 1593년(선조 26)에는 한삼이 하사품, 사신 선물, 예단, 염습 등에 사용된 것을 알 수 있고, 직물로는 견(絹), 초(綃), 면주(綿紬) 등 비교적 얇은 직물이 사용되었다. |
+ | |||
+ | ② 속적삼으로 사용한 것은 땀받이 옷이라는 뜻으로 조선시대 궁중에서부터 비롯된 말이다. 남녀 모두 속에 입는데, 모양은 겉옷과 같으며 치수만 약간 작았다. | ||
+ | |||
+ | ③ 거들지라고도 한다. 웃어른에게 손을 보이지 않는 예를 갖추기 위하여 만든 것이다. 원삼에는 홑으로 하였고, 활옷에는 겹으로 하였으며, 백비도 하였다. 보통 한삼 너비는 30~50㎝이며 한삼만 교체하여 사용하였다. 또 궁중무용을 할 때 무용복 손목에 묶어 착용한 긴 소매도 한삼이라 하였다. 흰색의 백한삼과 청색·황색·홍색·백색·녹색으로 된 색동 한삼이 있는데, 처용무에는 백한삼, 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무고(舞鼓)·춘앵전(春鶯囀)·보상무(寶相舞) 등에는 색동한삼을 사용하였다. | ||
+ | |||
+ | =='''용례'''== | ||
+ | |||
+ | ①賜女眞萬戶仇老木綿裌衣苧布衣汗衫笠靴香木帶 百戶好時羅木綿衣苧布衣汗衫笠靴 通事金龍奇木綿苧布各一匹笠([http://sillok.history.go.kr/id/kca_10504017_003 『태종실록』 5년 4월 17일]).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14번째 줄: | 26번째 줄: | ||
=='''관계망'''== | =='''관계망'''== | ||
− | <html><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script><input type="button" value=" | + | <html><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encysilloknetwork.aks.ac.kr/Content/index?id=na00007534"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
[[분류:생활·풍속]][[분류:의생활]][[분류:의복]][[분류:의복]][[분류:대한민국]][[분류:조선]] | [[분류:생활·풍속]][[분류:의생활]][[분류:의복]][[분류:의복]][[분류:대한민국]][[분류:조선]] |
2017년 12월 9일 (토) 20:53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한삼 |
한글표제 | 한삼 |
한자표제 | 汗衫 |
상위어 | 저고리[赤古里] |
동의어 | 광한삼(廣汗衫), 활한삼(闊汗衫) |
관련어 | 광견한삼(廣絹汗衫), 면주한삼(綿紬汗衫), 백초한삼(白綃汗衫), 적삼(赤衫), 초한삼(綃汗衫) |
분야 | 생활·풍속/의생활/의복 |
유형 | 의복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집필자 | 최은수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한삼(汗衫)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태종실록』 5년 4월 17일 |
① 상의, 저고리.
② 속적삼의 일종.
③ 여자 예복인 원삼이나 활옷의 소매 끝에 댄 흰색 옷감 또는 궁중무용을 할 때 무동(舞童)이나 여기(女妓)가 손목에 묶어 착용한 긴 소매.
내용
① 한삼(汗衫), 활한삼(闊汗衫), 광한삼(廣汗衫) 등은 피부 가까이에 닿도록 입었던 상의 종류로 추정된다. 그러나 여름에는 겉옷으로 입었을 가능성도 있다. 1405년(태종 5)에서 1593년(선조 26)에는 한삼이 하사품, 사신 선물, 예단, 염습 등에 사용된 것을 알 수 있고, 직물로는 견(絹), 초(綃), 면주(綿紬) 등 비교적 얇은 직물이 사용되었다.
② 속적삼으로 사용한 것은 땀받이 옷이라는 뜻으로 조선시대 궁중에서부터 비롯된 말이다. 남녀 모두 속에 입는데, 모양은 겉옷과 같으며 치수만 약간 작았다.
③ 거들지라고도 한다. 웃어른에게 손을 보이지 않는 예를 갖추기 위하여 만든 것이다. 원삼에는 홑으로 하였고, 활옷에는 겹으로 하였으며, 백비도 하였다. 보통 한삼 너비는 30~50㎝이며 한삼만 교체하여 사용하였다. 또 궁중무용을 할 때 무용복 손목에 묶어 착용한 긴 소매도 한삼이라 하였다. 흰색의 백한삼과 청색·황색·홍색·백색·녹색으로 된 색동 한삼이 있는데, 처용무에는 백한삼, 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무고(舞鼓)·춘앵전(春鶯囀)·보상무(寶相舞) 등에는 색동한삼을 사용하였다.
용례
①賜女眞萬戶仇老木綿裌衣苧布衣汗衫笠靴香木帶 百戶好時羅木綿衣苧布衣汗衫笠靴 通事金龍奇木綿苧布各一匹笠(『태종실록』 5년 4월 17일).
참고문헌
- 박성실·조효숙·이은주, 『조선시대 여인의 멋과 차림새』,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5.
- 유희경, 『한국복식문화사』, 교문사, 2001.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