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유명(朴惟明)"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XML 가져오기)
 
1번째 줄: 1번째 줄:
  
  
{{인명사전|대표표제=박유명|한글표제=박유명|한자표제=朴惟明|이칭=|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관련어=|분야=정치·행정가/관료/무신|유형=인물|지역=한국|시대=조선|왕대=광해군~인조|집필자=박은화|자= 형부(炯夫) |호=|봉작= 상원군(商原君) |시호=|출신=|성별=|출생=1582년(선조15)|사망=1640년(인조18) 2월 20일|본관=상주(尙州)|주거지=|묘소소재지=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용두리(龍頭里) 옥안(玉鞍)|증조부=(친증조부)박세훈(朴世勳) (양증조부)박세희(朴世熹)|조부= 박충익(朴忠翼) |부= 박치관(朴致寬) |모_외조=안동김씨(安東金氏): 김서(金澨)의 딸|형제=박유순(朴惟純), 박유의(朴惟毅)|처_장인=(첫째부인)연일정씨(延日鄭氏): 정호(鄭虎)의 딸 (둘째부인)경주이씨(慶州李氏): 이일언(李逸彦)의 딸|자녀=(1자)박장원(朴長源) (2자)박진충(朴盡忠) (3자)박선충(朴善忠) (1녀)이문우(李文佑)의 처 (2녀)신취(申檇)의 처 (3녀)이명헌(李明憲)의 처 (4녀)한위주(韓緯周)의 처 (5녀)윤명은(尹鳴殷)의 처|유명자손=|저술문집=|작품=|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10000101|실록연계=}}
+
{{인명사전|대표표제=박유명|한글표제=박유명|한자표제=朴惟明|이칭=|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관련어=|분야=정치·행정가/관료/무신|유형=인물|지역=한국|시대=조선|왕대=광해군~인조|집필자=박은화|자= 형부(炯夫) |호=|봉작= 상원군(商原君) |시호=|출신=|성별=|출생=1582년(선조15)|사망=1640년(인조18) 2월 20일|본관=상주(尙州)|주거지=|묘소소재지=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용두리(龍頭里) 옥안(玉鞍)|증조부=(친증조부)박세훈(朴世勳) (양증조부)박세희(朴世熹)|조부= 박충익(朴忠翼) |부= 박치관(朴致寬) |모_외조=안동김씨(安東金氏): 김서(金澨)의 딸|형제=박유순(朴惟純), 박유의(朴惟毅)|처_장인=(첫째부인)연일정씨(延日鄭氏): 정호(鄭虎)의 딸 (둘째부인)경주이씨(慶州李氏): 이일언(李逸彦)의 딸|자녀=(1자)박장원(朴長源) (2자)박진충(朴盡忠) (3자)박선충(朴善忠) (1녀)이문우(李文佑)의 처 (2녀)신취(申檇)의 처 (3녀)이명헌(李明憲)의 처 (4녀)한위주(韓緯周)의 처 (5녀)윤명은(尹鳴殷)의 처|유명자손=|저술문집=|작품=|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10000101|실록연계=}}
  
 
=='''총론'''==
 
=='''총론'''==
  
[1582년(선조15)~1640년(인조18) = 59세]. 조선 중기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 활동한 무신. 자는 형부(炯夫), 본관은 상주(尙州)이다. 아버지는 [[찰방(察訪)]]박치관(朴致寬)이고, 어머니는 [[사간(司諫)]]김서(金澨)의 딸이다. 박유순(朴惟純)· 박유의(朴惟毅)의 형이다.
+
[1582년(선조15)~1640년(인조18) = 59세]. 조선 중기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 활동한 무신. 자는 형부(炯夫), 본관은 상주(尙州)이다. 아버지는 [[찰방(察訪)]]박치관(朴致寬)이고, 어머니는 [[사간(司諫)]]김서(金澨)의 딸이다. 박유순(朴惟純)· 박유의(朴惟毅)의 형이다.
  
 
=='''광해군 시대 활동'''==
 
=='''광해군 시대 활동'''==
  
1620년(광해군12)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서산군수(瑞山郡守)에 임명되었다가, 훈련원(訓練院)[[첨정(僉正)]]을 거쳐, 만포진첨사(滿浦鎭僉使) 등을 역임하였다. 1623년(광해군15) 덕원부사(德源府使)로 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이 일어날 때 근왕별장(勤王別將)을 맡아서 군사 6백 명을 거느리고 연평군(延平君)이귀(李貴)를 도와 관군을 역습하여 큰 공을 세웠다.
+
1620년(광해군12)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서산군수(瑞山郡守)에 임명되었다가, 훈련원(訓練院)[[첨정(僉正)]]을 거쳐, 만포진첨사(滿浦鎭僉使) 등을 역임하였다. 1623년(광해군15) 덕원부사(德源府使)로 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이 일어날 때 근왕별장(勤王別將)을 맡아서 군사 6백 명을 거느리고 연평군(延平君)이귀(李貴)를 도와 관군을 역습하여 큰 공을 세웠다.
  
 
=='''인조 시대 활동'''==
 
=='''인조 시대 활동'''==

2018년 1월 9일 (화) 22:52 기준 최신판




총론

[1582년(선조15)~1640년(인조18) = 59세]. 조선 중기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 활동한 무신. 자는 형부(炯夫), 본관은 상주(尙州)이다. 아버지는 찰방(察訪)박치관(朴致寬)이고, 어머니는 사간(司諫)김서(金澨)의 딸이다. 박유순(朴惟純)· 박유의(朴惟毅)의 형이다.

광해군 시대 활동

1620년(광해군12)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서산군수(瑞山郡守)에 임명되었다가, 훈련원(訓練院)첨정(僉正)을 거쳐, 만포진첨사(滿浦鎭僉使) 등을 역임하였다. 1623년(광해군15) 덕원부사(德源府使)로 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이 일어날 때 근왕별장(勤王別將)을 맡아서 군사 6백 명을 거느리고 연평군(延平君)이귀(李貴)를 도와 관군을 역습하여 큰 공을 세웠다.

인조 시대 활동

1523년(인조1) ‘정사공신(靖社功臣)’ 3등에 책훈되고 상원군(商原君)으로 봉해졌으며, 1628년(인조6) 종2품하 가선대부(嘉善大夫)가자(加資)되었다. 벼슬은 당상 선전관(堂上宣傳官)을 거쳐 오위장(五衛將)을 역임하였다. 1640년(인조18) 2월 20일 병으로 죽으니, 나이가 59세였다.

묘소와 추증

묘소는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용두리(龍頭里) 옥안(玉鞍)에 있다. 죽은 뒤에 공조판서에 추증되었다.

관력, 행적

참고문헌

  •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 『인조실록(仁祖實錄)』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계해정사록(癸亥靖社錄)』
  • 『상주박씨세보(尙州朴氏世譜)』
  • 『송자대전(宋子大典)』
  • 『응천일록(凝川日錄)』
  • 『택당집(澤堂集)』
  • 『연평일기(延平日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