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패(月孛)"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XML 가져오기)
1번째 줄: 1번째 줄:
  
  
{{자연현상|대표표제=월패|한글표제=월패|한자표제=月孛|대역어=|상위어=천문(天文)|하위어=|동의어=|관련어=사암성(四暗星), 사여성(四餘星), 암성(暗星), 자기(紫氣)|분야=문화/과학/천문|유형=자연(현상)|지역=|시대=|왕대=|집필자=김일권|발생지역=|관할기관=|관련의식=|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7211|실록연계=}}
+
{{개념용어|대표표제=월패|한글표제=월패|한자표제=月孛|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원지점(遠地點)|관련어=근지점(近地點), 근점월(近點月)|분야=문화/과학/천문|유형=개념용어|지역=한국|시대=조선|왕대=|집필자=이은희|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1359|실록연계=}}
  
전통 천문학에서 사용하던 사암성(四暗星)의 하나로, 황도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백도 상의 원지점을 지칭하는 가상적인 천체명.
+
달이 운행하는 [[백도(白道)]] 상의 원지점(遠地點).
  
=='''개설'''==
+
=='''개설 및 변천'''==
  
현대 천문학과 달리 일월식 추보에 매우 역점을 두었던 전통 천문학에서는 그 일월식을 일으키는 가상적인 천체가 있다고 보아 그에 대한 이론을 발달시켰는데, 황백도 교점에 관계하는 나후(羅睺)와 계도(計都) 및 황백도 사이의 원·근지점에 대한 월패(月孛)자기(紫氣)를 사암성 혹은 사여성(四餘星)이라 이름 붙여 천문역법 계산에 활용하였다. 사여성은 오행성 외에 움직이는 나머지 네 개의 천체라는 뜻이고, 사암성은 이들이 실제로 관측되지는 않으므로 어두운 별이란 뜻의 암성(暗星)으로 이름 지은 것이다.
+
월패(月孛)는 실제로 존재하는 천체가 아니라, 천구(天球) 상에서 일정한 주기 변화를 보이는 특별한 위치를 별이 운행하는 것으로 본 가상 천체이다. 인도 천문학에서는 일월오성(日月五星)의 칠요(七曜) 이외에 나후(羅睺)와 계도(計都)라는 보이지 않는 두 별[二隱曜]이 있다고 생각하여, 이들을 합해 구요(九曜) 또는 구집(九執)이라고 하였다. 또한 이 구요에, 보이지 않는 또 다른 두 별 [[자기(紫氣)]]와 월패를 더하여 11요()라 부르기도 하였다. 나후와 계도, 자기와 월패를 합하여 사여(四餘) 또는 사은요(四隱曜)라고 부르는데, 이들은 모두 달의 운동과 관련이 있다.
  
=='''내용 및 특징'''==
+
칠요에 사여를 합한 11요에 대한 계산은 바라문(婆羅門) 술사인 이필건(李弼乾)의 『십일성행력(十一星行曆)』에서 다루어졌으며, 당(唐)나라 때 전해진 불교 경전에서 행하여졌다. 『고금율력고(古今律曆考)』에 따르면, 중국에서 월패의 계산은 당나라 때의 이순풍(李淳風)이 처음으로 시작했다고 한다. 그는 ‘패(孛)’가 62일에 7도(度)를 운행하고, 62년에는 7[[주천(周天)]]한다고 계산하였다. 이를 다시 계산하면 약 8.8571년 만에 하늘을 한 바퀴 돈다는 뜻이 된다. 이 값은 『[[수시력(授時曆)]]』의 [[입성(立成)]]에 기록된 8.848492년과 비교하면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거의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중국에서 월패를 포함한 사여에 대한 계산을 공식적으로 채용하기 시작한 역법은 원나라 때의 『수시력』인데, 명나라 때의『[[대통력(大統曆)]]』과 조선 세종 때의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은 이를 이어받아 사여의 항목을 역법에 포함시켰다.
  
조선초 세종대 『칠정산내편』은 제6장 「오성(五星)」 편 다음에 제7장 「사여성」 편을 편장하였는데, 이들을 모두 행성의 일종으로 보았으므로 4암성에 대한 천문학적 관측 수치와 항성주기를 수록하였다.
+
=='''내용'''==
  
나후성과 계도성은 천구를 역행하는 별이며, 둘 다 18.58년 즉, 18년 7개월에 1주천한다고 하였다. 이는 일월식이 발생하는 황백교점이 황도 상을 18.6년 주기로 역행한다는 천문학적 관측 사실을 의미한다. 나후성은 달이 황도 남쪽에서 북으로 올라갈 때 만나는 승교점이고, 계도성은 달이 남으로 내려가는 강교점에 대응한다.
+
월패의 ‘패(孛)’는 원래 달이 가장 느리게 움직이는 곳, 즉 백도의 원지점을 가리킨다. 『칠정산내편』에서는 『수시력』과 마찬가지로, 월패가 하루에 11분 30초 1361의 속도로 운행하여 천구를 일주(日周)하는 데 8.848492년이 걸린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는 원지점 또는 근지점(近地點)의 순행(順行) 주기와 일치한다.
  
반면에 자기성과 월패성은 천구를 순행하는 별이고, 자기는 28년 주기로, 월패는 8.86년 즉, 8년 10개월 주기로 일주천한다고 보았다. 이 둘이 황도 원지점과 근지점을 지칭한다고 하나 그 반대의 이론도 있는 등 그 존재가 무엇을 지칭하는 것인지 분명치가 않다.
+
중국에서는 2세기경에 근지점 즉, 달의 운동이 가장 빨라지는 곳이 약 9년마다 동쪽으로 이동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알았으므로, 중국에서는 근지점의 이동으로, 월패가 유래된 서역(西域)에서는 원지점의 이동으로 달의 부등운동을 발견한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 원지점 또는 근지점이 동쪽으로 이동하는, 다시 말해 순행하는 물리적인 이유는, 달이 태양과 일직선 상에 있게 되는 삭(朔)과 망(望)에서, 달의 공전궤도를 장축 방향으로 늘어나게 하는 태양의 차등 중력 효과로 인하여 궤도상의 장축선이 회전하기 때문이다. 『칠정산내편』에 기록된 월패의 매일의 행도와 [[도율(度率)]] 및 주천 주기 일수(日數)를 나타내는 [[주적(周積)]], 그리고 11한(限)으로 나누고 있는 [[책수(策數)]]와 책수의 도수는 다음과 같다.
  
이상의 사암성 개념은 중국에서 발생한 것이 아니라 인도 천문학에서 개발된 이론이고, 수·당대의 불교천문서를 통해 처음 유입된다. 중당(中唐) 시기 인도 승려 구담실달이 번역한 『구집력(九執曆)』에는 나후성과 계도성이 해와 달을 잡아먹는다는 뜻으로 식신성(蝕神星)이라 이름하고 있다. 이후 원·명대에도 계승되다가, 청대에 이르면 4암성 중 자기는 어떤 천문학적 기능도 없다고 하여 제외하고 다른 3암성만 수록하였고, 현대에서는 모두 폐기하였다.
+
[[지후책(至後策)]]  2384만 1092분
 +
 
 +
[[주적(周積)]]  3231일 9684분
 +
 
 +
반주적(半周積) 1615일 9842분
 +
 
 +
도율(度率)  8일 8484분 92초
 +
 
 +
일행분(日行分)  11분 30초 1361
  
 
=='''참고문헌'''==       
 
=='''참고문헌'''==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       
+
*『고금율력고(古今律曆考)』       
*『국조역상고(國朝曆象考)』      
+
*藪內淸 著, 兪景老 譯, 『中國의 天文學』, 전파과학사, 1985.      
*『서운관지(書雲觀志)』      
+
*유경로·이은성·현정준 역주, 『세종장헌대왕실록』 「칠정산내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3.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
*이은희, 『칠정산내편의 연구』, 한국학술정보, 2007.       
*김일권, 『동양천문사상 하늘의 역사』, 예문서원, 2007.       
+
*K. Y. Chen, C. W. Chan & E. H. Lee, 「Introduction of Si-Yu to China」, 『Frontiers of Oriental Astronomy』, 中國科學技術出版社, 2006.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국역 고려사 지』, 경인문화사, 2011.       
+
*E. H. Lee and K. Y. Chen, 「A study of the Motions of Rahu and Ketu」, 『Proceeding of the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oriental astronomy』, Fukuoka Univ. of Education, 1998.       
*陳遵嬀, 『中國天文學史』 上中下, 上海人民出版社, 2006.       
 
  
=='''관계망'''==
+
[[분류:문화]][[분류:과학]][[분류:천문]][[분류:개념용어]][[분류:한국]][[분류:조선]]
<html><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encysilloknetwork.aks.ac.kr/Content/index?id=na00017211"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분류:문화]][[분류:과학]][[분류:천문]][[분류:자연(현상)]]
 

2017년 12월 10일 (일) 02:34 판



달이 운행하는 백도(白道) 상의 원지점(遠地點).

개설 및 변천

월패(月孛)는 실제로 존재하는 천체가 아니라, 천구(天球) 상에서 일정한 주기 변화를 보이는 특별한 위치를 별이 운행하는 것으로 본 가상 천체이다. 인도 천문학에서는 일월오성(日月五星)의 칠요(七曜) 이외에 나후(羅睺)와 계도(計都)라는 보이지 않는 두 별[二隱曜]이 있다고 생각하여, 이들을 합해 구요(九曜) 또는 구집(九執)이라고 하였다. 또한 이 구요에, 보이지 않는 또 다른 두 별 자기(紫氣)와 월패를 더하여 11요(曜)라 부르기도 하였다. 나후와 계도, 자기와 월패를 합하여 사여(四餘) 또는 사은요(四隱曜)라고 부르는데, 이들은 모두 달의 운동과 관련이 있다.

칠요에 사여를 합한 11요에 대한 계산은 바라문(婆羅門) 술사인 이필건(李弼乾)의 『십일성행력(十一星行曆)』에서 다루어졌으며, 당(唐)나라 때 전해진 불교 경전에서 행하여졌다. 『고금율력고(古今律曆考)』에 따르면, 중국에서 월패의 계산은 당나라 때의 이순풍(李淳風)이 처음으로 시작했다고 한다. 그는 ‘패(孛)’가 62일에 7도(度)를 운행하고, 62년에는 7주천(周天)한다고 계산하였다. 이를 다시 계산하면 약 8.8571년 만에 하늘을 한 바퀴 돈다는 뜻이 된다. 이 값은 『수시력(授時曆)』의 입성(立成)에 기록된 8.848492년과 비교하면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거의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중국에서 월패를 포함한 사여에 대한 계산을 공식적으로 채용하기 시작한 역법은 원나라 때의 『수시력』인데, 명나라 때의『대통력(大統曆)』과 조선 세종 때의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은 이를 이어받아 사여의 항목을 역법에 포함시켰다.

내용

월패의 ‘패(孛)’는 원래 달이 가장 느리게 움직이는 곳, 즉 백도의 원지점을 가리킨다. 『칠정산내편』에서는 『수시력』과 마찬가지로, 월패가 하루에 11분 30초 1361의 속도로 운행하여 천구를 일주(日周)하는 데 8.848492년이 걸린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는 원지점 또는 근지점(近地點)의 순행(順行) 주기와 일치한다.

중국에서는 2세기경에 근지점 즉, 달의 운동이 가장 빨라지는 곳이 약 9년마다 동쪽으로 이동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알았으므로, 중국에서는 근지점의 이동으로, 월패가 유래된 서역(西域)에서는 원지점의 이동으로 달의 부등운동을 발견한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 원지점 또는 근지점이 동쪽으로 이동하는, 다시 말해 순행하는 물리적인 이유는, 달이 태양과 일직선 상에 있게 되는 삭(朔)과 망(望)에서, 달의 공전궤도를 장축 방향으로 늘어나게 하는 태양의 차등 중력 효과로 인하여 궤도상의 장축선이 회전하기 때문이다. 『칠정산내편』에 기록된 월패의 매일의 행도와 도율(度率) 및 주천 주기 일수(日數)를 나타내는 주적(周積), 그리고 11한(限)으로 나누고 있는 책수(策數)와 책수의 도수는 다음과 같다.

지후책(至後策) 2384만 1092분

주적(周積) 3231일 9684분

반주적(半周積) 1615일 9842분

도율(度率) 8일 8484분 92초

일행분(日行分) 11분 30초 1361

참고문헌

  • 『고금율력고(古今律曆考)』
  • 藪內淸 著, 兪景老 譯, 『中國의 天文學』, 전파과학사, 1985.
  • 유경로·이은성·현정준 역주, 『세종장헌대왕실록』 「칠정산내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3.
  • 이은희, 『칠정산내편의 연구』, 한국학술정보, 2007.
  • K. Y. Chen, C. W. Chan & E. H. Lee, 「Introduction of Si-Yu to China」, 『Frontiers of Oriental Astronomy』, 中國科學技術出版社, 2006.
  • E. H. Lee and K. Y. Chen, 「A study of the Motions of Rahu and Ketu」, 『Proceeding of the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oriental astronomy』, Fukuoka Univ. of Education,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