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의장(朴毅長)"의 두 판 사이의 차이
(XML 가져오기) |
(XML 가져오기)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인명사전|대표표제=박의장|한글표제=박의장|한자표제=朴毅長|이칭=|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관련어=|분야=정치·행정가/관료/무신|유형=인물|지역=한국|시대=조선|왕대=선조~광해군|집필자=박은화|자= 사강(士剛) |호=|봉작=|시호= 무의(武毅) |출신=양반|성별=남자|출생=1555년(명종 10)|사망=1615년(광해군 7)|본관=무안(務安)|주거지=|묘소소재지=|증조부=|조부= 박영기(朴榮基) |부= 박세렴(朴世廉) |모_외조=|형제=(동생)박홍장(朴弘長)|처_장인=영천 이씨( | + | {{인명사전|대표표제=박의장|한글표제=박의장|한자표제=朴毅長|이칭=|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관련어=|분야=정치·행정가/관료/무신|유형=인물|지역=한국|시대=조선|왕대=선조~광해군|집필자=박은화|자= 사강(士剛) |호=|봉작=|시호= 무의(武毅) |출신=양반|성별=남자|출생=1555년(명종 10)|사망=1615년(광해군 7)|본관=무안(務安)|주거지=|묘소소재지=|증조부=|조부= 박영기(朴榮基) |부= 박세렴(朴世廉) |모_외조=|형제=(동생)박홍장(朴弘長)|처_장인=영천 이씨(永川李氏): 이지영(李之英)의 딸|자녀=(1자)박늑(朴玏) (2자)박선(朴璿) (3자)박위(朴瑋)|유명자손=|저술문집=|작품=|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10000783|실록연계=}} |
=='''총론'''== | =='''총론'''== | ||
− | [1555년(명종 10)~1615년(광해군 7) = 61세]. 조선 중기 선조~광해군 때 활동한 무신. 경상좌도 병마절도사(慶尙左道兵馬節度使)를 지냈다. 자는 사강(士剛)이고, 본관은 무안(務安)이다. 아버지는 현감(縣監)박세렴(朴世廉)이다. 김언기( | + | [1555년(명종 10)~1615년(광해군 7) = 61세]. 조선 중기 선조~광해군 때 활동한 무신. 경상좌도 병마절도사(慶尙左道兵馬節度使)를 지냈다. 자는 사강(士剛)이고, 본관은 무안(務安)이다. 아버지는 현감(縣監)박세렴(朴世廉)이다. 김언기(金彦璣)의 문인이다. |
=='''선조~광해군 시대 활동'''== | =='''선조~광해군 시대 활동'''== | ||
− | 1557년(선조 10)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주부(主簿)]]가 되었다. 1588년(선조 21) 진해현감(鎭海縣監)이 되었고, 1592년(선조 25) 4월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에는 경주판관(慶州判官)이 되었다. 이때 그는 소속군사를 이끌고 병마절도사이각( | + | 1557년(선조 10)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주부(主簿)]]가 되었다. 1588년(선조 21) 진해현감(鎭海縣監)이 되었고, 1592년(선조 25) 4월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에는 경주판관(慶州判官)이 되었다. 이때 그는 소속군사를 이끌고 병마절도사이각(李珏)과 함께 동래성(東萊城)을 구하기 위하여 달려갔다. 그러나 이각이 퇴각하자 그의 비겁함을 준엄하게 꾸짖었다. 그 해 7월에 이각이 처형되고 박진(朴晉)이 병마절도사로 임명되자, 장기현감(長鬐縣監)이수일(李守一)과 함께 박진을 도와 적에게 빼앗긴 경주성(慶州城)의 탈환작전에서 [[화차(火車)]]와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를 사용하여 큰 성과를 거두었다. 1593년(선조 26) 4월에 경주판관인 그는 군사 300여명을 거느리고 대구 파잠(巴岑)에서 왜적 2,000여 명과 마주쳤는데, 왜군을 15리나 추격하여 31명의 수급과 말 1백 23필을 빼앗는 등 큰 전공을 세웠다. 그 해 5월에는 울산군수(蔚山郡守)김태허(金太虛) 등과 함께 울산에 있는 적과 며칠 동안 싸워 적 50여 명의 수급을 베고 인하여 왜적의 기세를 꺾어 놓아 격퇴시켰다. 그러한 공으로 당상관에 승진되고, 경주부윤(慶州府尹)이 되었다. 그 해 8월에는 왜병이 안강(安康)에 주둔하고 있는 명(明)나라 군사를 급습하여 200여 명을 죽이자 병사(兵使)고언백(高彦伯)과 함께 적을 추격하여 무찔렀다. 1594년(선조 27) 2월에는 양산(梁山)의 왜적을 무찔렀고, 3월에는 임랑포(林浪浦)의 왜적이 언양현에 진입하여 노략질을 하자 이를 급습하여 무찔렀다. 이때 왜적에게 잡혀 있던 백성 370명을 구해내고, 우마 32필도 노획하였다. 그 해 5월에는 기장(機張)에서 왜병을 베었고, 그 해 7월에는 경주에서 많은 왜병을 베었다. 1595년(선조 28)에 그 공으로 [[가선대부(嘉善大夫)]]로 승품되었다. 1597년(선조 30) 영천(永川)과 안강의 적을 무찔렀다. 이때 군병 1,000명을 거느리고 명군(明君) 5만 명의 뒷바라지를 했으며, 왜군이 성을 비우고 밤에 도망치자 창고에 있던 곡식 400여석을 거두었다. 1598년(선조 31) 박도산(薄島山)의 왜적을 쳐서 전승을 올렸다. 그 공으로 가의대부(嘉義大夫)에 승품되고 말을 하사받았다. 1599년(선조 32) 윤4월에 성주목사(星州牧使)가 되었다. 1600년(선조 33)에 경상좌도 병마절도사가 되었다. 1601년(선조 34)에 인동부사(仁同府使)가 되었다. |
광해군이 즉위하자 1608년(광해군 즉위) 8월에 다시 경상 좌병사(慶尙左兵使)가 되었다. 그는 1615년(광해군 7)에 세상을 떠났으니, 나이는 61세이다. 그는 경사(經史)에도 밝았다. 충신인 그는 다섯 차례의 병사를 지내는 동안 청렴하고 근신하기가 한결같았다고 하나, 『선조실록(宣祖實錄)』 기록에는, “그는 사람됨이 간교하여 권세가에게 아첨해서 섬김으로써 2품의 지위를 차지하였다. 경주에 있은 지 9년에 동남 지역의 재물이 다 그의 수중에 들어갔는데 전답과 저택이 매우 기름지고 호화스러워 당대에 으뜸이었다. 재물을 좋아하는 무리로서 그와 서로 결탁하지 않은 자가 없었다.” 라고 하였다.[『선조실록』선조 32년 윤4월 20일] | 광해군이 즉위하자 1608년(광해군 즉위) 8월에 다시 경상 좌병사(慶尙左兵使)가 되었다. 그는 1615년(광해군 7)에 세상을 떠났으니, 나이는 61세이다. 그는 경사(經史)에도 밝았다. 충신인 그는 다섯 차례의 병사를 지내는 동안 청렴하고 근신하기가 한결같았다고 하나, 『선조실록(宣祖實錄)』 기록에는, “그는 사람됨이 간교하여 권세가에게 아첨해서 섬김으로써 2품의 지위를 차지하였다. 경주에 있은 지 9년에 동남 지역의 재물이 다 그의 수중에 들어갔는데 전답과 저택이 매우 기름지고 호화스러워 당대에 으뜸이었다. 재물을 좋아하는 무리로서 그와 서로 결탁하지 않은 자가 없었다.” 라고 하였다.[『선조실록』선조 32년 윤4월 20일] | ||
15번째 줄: | 15번째 줄: | ||
=='''시호와 후손'''== | =='''시호와 후손'''== | ||
− | 1784년(정조 8) 3월 11일 무의(武毅)란 시호를 받았다. 경상북도 영덕군(盈德郡) 영해면(寧海面)의 정충사(貞忠祠)와 구봉정사(九峯精舍)에 제향(祭享)되었으며 사후에 호조 판서에 [[증직(贈職)]]되었다. 부인 영천 이씨( | + | 1784년(정조 8) 3월 11일 무의(武毅)란 시호를 받았다. 경상북도 영덕군(盈德郡) 영해면(寧海面)의 정충사(貞忠祠)와 구봉정사(九峯精舍)에 제향(祭享)되었으며 사후에 호조 판서에 [[증직(贈職)]]되었다. 부인 영천 이씨(永川李氏)는 [[참봉(參奉)]]이지영(李之英)의 딸인데, 자녀는 3남을 낳았다. 1남은 박늑(朴玏)이고, 2남은박선(朴璿)이며, 3남은 박위(朴瑋)이다.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2018년 1월 9일 (화) 22:44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박의장 |
한글표제 | 박의장 |
한자표제 | 朴毅長 |
분야 | 정치·행정가/관료/무신 |
유형 | 인물 |
지역 | 한국 |
시대 | 조선 |
왕대 | 선조~광해군 |
집필자 | 박은화 |
자 | 사강(士剛) |
시호 | 무의(武毅) |
출신 | 양반 |
성별 | 남자 |
출생 | 1555년(명종 10) |
사망 | 1615년(광해군 7) |
본관 | 무안(務安) |
조부 | 박영기(朴榮基) |
부 | 박세렴(朴世廉) |
형제 | (동생)박홍장(朴弘長) |
처_장인 | 영천 이씨(永川李氏): 이지영(李之英)의 딸 |
자녀 | (1자)박늑(朴玏) (2자)박선(朴璿) (3자)박위(朴瑋)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박의장(朴毅長) |
총론
[1555년(명종 10)~1615년(광해군 7) = 61세]. 조선 중기 선조~광해군 때 활동한 무신. 경상좌도 병마절도사(慶尙左道兵馬節度使)를 지냈다. 자는 사강(士剛)이고, 본관은 무안(務安)이다. 아버지는 현감(縣監)박세렴(朴世廉)이다. 김언기(金彦璣)의 문인이다.
선조~광해군 시대 활동
1557년(선조 10)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주부(主簿)가 되었다. 1588년(선조 21) 진해현감(鎭海縣監)이 되었고, 1592년(선조 25) 4월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에는 경주판관(慶州判官)이 되었다. 이때 그는 소속군사를 이끌고 병마절도사이각(李珏)과 함께 동래성(東萊城)을 구하기 위하여 달려갔다. 그러나 이각이 퇴각하자 그의 비겁함을 준엄하게 꾸짖었다. 그 해 7월에 이각이 처형되고 박진(朴晉)이 병마절도사로 임명되자, 장기현감(長鬐縣監)이수일(李守一)과 함께 박진을 도와 적에게 빼앗긴 경주성(慶州城)의 탈환작전에서 화차(火車)와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를 사용하여 큰 성과를 거두었다. 1593년(선조 26) 4월에 경주판관인 그는 군사 300여명을 거느리고 대구 파잠(巴岑)에서 왜적 2,000여 명과 마주쳤는데, 왜군을 15리나 추격하여 31명의 수급과 말 1백 23필을 빼앗는 등 큰 전공을 세웠다. 그 해 5월에는 울산군수(蔚山郡守)김태허(金太虛) 등과 함께 울산에 있는 적과 며칠 동안 싸워 적 50여 명의 수급을 베고 인하여 왜적의 기세를 꺾어 놓아 격퇴시켰다. 그러한 공으로 당상관에 승진되고, 경주부윤(慶州府尹)이 되었다. 그 해 8월에는 왜병이 안강(安康)에 주둔하고 있는 명(明)나라 군사를 급습하여 200여 명을 죽이자 병사(兵使)고언백(高彦伯)과 함께 적을 추격하여 무찔렀다. 1594년(선조 27) 2월에는 양산(梁山)의 왜적을 무찔렀고, 3월에는 임랑포(林浪浦)의 왜적이 언양현에 진입하여 노략질을 하자 이를 급습하여 무찔렀다. 이때 왜적에게 잡혀 있던 백성 370명을 구해내고, 우마 32필도 노획하였다. 그 해 5월에는 기장(機張)에서 왜병을 베었고, 그 해 7월에는 경주에서 많은 왜병을 베었다. 1595년(선조 28)에 그 공으로 가선대부(嘉善大夫)로 승품되었다. 1597년(선조 30) 영천(永川)과 안강의 적을 무찔렀다. 이때 군병 1,000명을 거느리고 명군(明君) 5만 명의 뒷바라지를 했으며, 왜군이 성을 비우고 밤에 도망치자 창고에 있던 곡식 400여석을 거두었다. 1598년(선조 31) 박도산(薄島山)의 왜적을 쳐서 전승을 올렸다. 그 공으로 가의대부(嘉義大夫)에 승품되고 말을 하사받았다. 1599년(선조 32) 윤4월에 성주목사(星州牧使)가 되었다. 1600년(선조 33)에 경상좌도 병마절도사가 되었다. 1601년(선조 34)에 인동부사(仁同府使)가 되었다.
광해군이 즉위하자 1608년(광해군 즉위) 8월에 다시 경상 좌병사(慶尙左兵使)가 되었다. 그는 1615년(광해군 7)에 세상을 떠났으니, 나이는 61세이다. 그는 경사(經史)에도 밝았다. 충신인 그는 다섯 차례의 병사를 지내는 동안 청렴하고 근신하기가 한결같았다고 하나, 『선조실록(宣祖實錄)』 기록에는, “그는 사람됨이 간교하여 권세가에게 아첨해서 섬김으로써 2품의 지위를 차지하였다. 경주에 있은 지 9년에 동남 지역의 재물이 다 그의 수중에 들어갔는데 전답과 저택이 매우 기름지고 호화스러워 당대에 으뜸이었다. 재물을 좋아하는 무리로서 그와 서로 결탁하지 않은 자가 없었다.” 라고 하였다.[『선조실록』선조 32년 윤4월 20일]
시호와 후손
1784년(정조 8) 3월 11일 무의(武毅)란 시호를 받았다. 경상북도 영덕군(盈德郡) 영해면(寧海面)의 정충사(貞忠祠)와 구봉정사(九峯精舍)에 제향(祭享)되었으며 사후에 호조 판서에 증직(贈職)되었다. 부인 영천 이씨(永川李氏)는 참봉(參奉)이지영(李之英)의 딸인데, 자녀는 3남을 낳았다. 1남은 박늑(朴玏)이고, 2남은박선(朴璿)이며, 3남은 박위(朴瑋)이다.
참고문헌
- 『선조실록(宣祖實錄)』
-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 『번암집(樊巖集)』
- 『존재집(存齋集)』
- 『제산집(霽山集)』
- 『한국인(韓國人)의 족보(族譜)』
- 『무안 박씨 족보(務安朴氏族譜)』
- 「경진 별시 문무과 방목(庚辰別試文武科榜目)」
- 「계묘 식년 문무과 방목(癸卯式年文武科榜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