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의(上衣)"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XML 가져오기)
 
1번째 줄: 1번째 줄:
 
+
  
 
{{의복|대표표제=상의|한글표제=상의|한자표제=上衣|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관련어=하의(下衣)|분야=생활·풍속/의생활/의복|유형=의복|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왕대=|집필자=윤양노|용도=|시기=|관련의례행사=|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3360|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wa_13404029_001 『순조실록』 34년 4월 29일]}}
 
{{의복|대표표제=상의|한글표제=상의|한자표제=上衣|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관련어=하의(下衣)|분야=생활·풍속/의생활/의복|유형=의복|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왕대=|집필자=윤양노|용도=|시기=|관련의례행사=|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3360|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wa_13404029_001 『순조실록』 34년 4월 29일]}}
14번째 줄: 14번째 줄:
  
 
=='''관계망'''==
 
=='''관계망'''==
<html><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script><input type="button" value="새로고침" onclick="reload();"><iframe src="http://encysilloknetwork.aks.ac.kr/Content/index?id=na00003360" width="100%" height="700px"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
<html><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encysilloknetwork.aks.ac.kr/Content/index?id=na00003360"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분류:생활·풍속]][[분류:의생활]][[분류:의복]][[분류:의복]][[분류:대한민국]][[분류:조선]]
 
[[분류:생활·풍속]][[분류:의생활]][[분류:의복]][[분류:의복]][[분류:대한민국]][[분류:조선]]

2017년 12월 9일 (토) 20:53 기준 최신판



위에 입는 옷.

내용

옷을 입는 부위에 따라 상의(上衣)와 하의(下衣)로 나눌 수 있다. 상의는 보통 하의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사용되지만, 때로는 겹쳐 입을 때 가장 겉에 입는 옷의 의미로도 사용된다. 철릭[帖裏]과 같이 상의와 하의가 연결된 옷도 있다.

용례

我東衣章 其制之最古者 帖裏是已 上衣下裳 連綴成之(『순조실록』 34년 4월 29일).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