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복(禫服)"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XML 가져오기)
 
1번째 줄: 1번째 줄:
 
+
  
 
{{의복|대표표제=담복|한글표제=담복|한자표제=禫服|대역어=|상위어=상복(喪服)|하위어=백피화(白皮靴), 오서대(烏犀帶), 익선관(翼善冠), 참포(黲袍)|동의어=|관련어=담제(禫祭), 대상(大祥), 연복(練服), 천담복(淺淡服)|분야=생활·풍속/의생활/의복|왕실/왕실의례/흉례|유형=의복|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왕대=|집필자=이민주|용도=|시기=|관련의례행사=|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1450|실록연계=}}
 
{{의복|대표표제=담복|한글표제=담복|한자표제=禫服|대역어=|상위어=상복(喪服)|하위어=백피화(白皮靴), 오서대(烏犀帶), 익선관(翼善冠), 참포(黲袍)|동의어=|관련어=담제(禫祭), 대상(大祥), 연복(練服), 천담복(淺淡服)|분야=생활·풍속/의생활/의복|왕실/왕실의례/흉례|유형=의복|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왕대=|집필자=이민주|용도=|시기=|관련의례행사=|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1450|실록연계=}}
17번째 줄: 17번째 줄:
  
 
=='''관계망'''==
 
=='''관계망'''==
<html><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script><input type="button" value="새로고침" onclick="reload();"><iframe src="http://encysilloknetwork.aks.ac.kr/Content/index?id=na00001450" width="100%" height="700px"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
<html><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encysilloknetwork.aks.ac.kr/Content/index?id=na00001450"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분류:생활·풍속]][[분류:의생활]][[분류:의복]][[분류:왕실]][[분류:왕실의례]][[분류:흉례]][[분류:의복]][[분류:대한민국]][[분류:조선]]
 
[[분류:생활·풍속]][[분류:의생활]][[분류:의복]][[분류:왕실]][[분류:왕실의례]][[분류:흉례]][[분류:의복]][[분류:대한민국]][[분류:조선]]

2017년 12월 9일 (토) 20:44 기준 최신판



상제(祥祭)를 지낼 때부터 담제(禫祭)를 지내기 전까지 입는 옷.

내용

담복은 25개월에 지내는 제사인 상제에 입는 옷으로, 왕은 참포의(黲布衣)를 입고 대군 이하 문무백관은 짙은 회색의 단령을 입는다. 이는 점점 길복으로 가까워져 가는 복색을 취한 것으로, 왕이 입는 참포는 옅은 청흑색이며, 문무백관의 단령은 짙은 회색단령을 입다가 1634년(인조 12) 이후 짙은 옥색으로 바뀌었다.

용례

尙衣院官進禫服 黲布 翼善冠 烏犀帶 白皮靴 (중략) 大君以下及宗親百官俱易服 深染灰色團領 烏紗帽 黑角帶白皮靴[『세종실록』 오례 흉례의식 상제의]

참고문헌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