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연묵(油烟墨)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기름을 태운 그을음으로 만든 먹.

개설

참기름[胡麻油], 기름오동나무 열매 기름[桐油], 비자나무 열매 기름[榧油] 등을 태워 나온 그을음을 채취하여 만든 먹이다. 이중 기름오동나무 열매 기름을 가장 많이 쓰지만 참기름으로 만든 먹이 가장 좋다고 한다. 요즘은 대부분 양연(洋煙)이라 하여 천연가스나 타르 등을 불완전 연소시켜 얻은 카본 블랙을 쓰며, 경유와 중유를 태운 그을음을 쓰기도 한다. 유연묵(油煙墨)은 짙은 검정색에 광택이 나고 맑다.

연원 및 변천

당나라 말기에 남당(南唐)의 후주(後主) 이욱(李煜)이 먹 사용을 장려하여 이정규(李廷珪)와 같은 유명한 묵공(墨工)들이 나왔다. 그 후 여러 묵공이 나와 다양한 재료가 개발되고, 발전하여 유연묵이 송연묵(松烟墨)을 대체하였다. 오늘날에는 송연묵보다 유연묵을 많이 쓰는데, 특히 광물질인 석유를 불완전 연소시켜 만든 카본 블랙을 사용한 유연묵이 주를 이룬다. 하지만 천연 광물질인 석유 등으로 만든 먹이 언제부터 만들어졌는지는 분명치 않다. 송대(宋代) 조설지(晁說之)의 『묵경(墨經)』에서 “예전에는 석묵(石墨)과 송연묵 2가지가 있었는데, 위진시대부터 석묵은 없어지고 송연묵을 썼다.”라고 하였다. 또 원(元)나라도종의(陶宗儀)의 『남촌철경록(南村輟耕錄)』에서 “상고시대에는 먹이 없었기 때문에 대꼬챙이에 옻을 찍어 글씨를 썼고, 중고시대에는 석묵즙(石墨汁)을 사용하였는데 연안에서는 이것을 석액(石液)이라고도 하였다. 위진시대에 비로소 옻과 소나무 그을음으로 만든 묵환(墨丸)을 쓰게 되었다.”라고 하였다. 여기서 말하는 석묵이나 석액이 석유를 지칭하지는 않는다. 석유로 만든 먹에 관해서 송나라 심괄(沈括)은 『몽계필담(夢溪筆談)』에서 “천연 석유로 먹을 만들었는데 송연묵보다 더 까맣다.”고 하였다. 이로써 송나라 때부터 천연 석유로 만든 먹이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좋은 유연묵이 많이 만들어져 조선을 방문한 중국 사신들에게 주는 선물 목록에도 거의 빠지지 않았다(『성종실록』 1년 5월 2일).

참고문헌

  • 선주선, 『서예』, 대원사, 2003.
  • 이겸노, 『문방사우』, 대원사, 2008.
  • 錢存訓 저, 김윤자 역, 『중국고대서사』, 동문선, 1993.
  • 梁披雲 외, 『중국서법대사전』, 서보출판사, 1985.
  • 尹潤生, 『묵림사화』, 자금성출판사,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