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栿)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복 |
한글표제 | 복 |
한자표제 | 栿 |
관련어 | 대들보[大樑], 맞보[合樑], 양(樑), 양(粱), 종보[宗樑], 중보[中樑], 충량(衝樑), 툇보[退樑] |
분야 | 문화/예술/건축 |
유형 | 물품·도구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시대 |
집필자 | 이연노 |
용도 | 건축 부재 |
재질 | 나무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복(栿) |
건물에서 가장 강한 응력을 받는 부재인 보(椺)를 이르는 말.
@@00002596_01_복
개설
『조선왕조실록』에는 보가 총 세 차례 등장하는데, 모두 길이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면서 나타난다. 보는 건축물에서 가장 큰 응력을 담당하는 구조물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건축 부재이다. 장방형의 평면에서 길이가 짧은 방향으로 보가 놓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건물에서 정면과 배면에 위치한 기둥 상부에 보가 놓이게 된다. 보 상부에는 또 다른 중요 건축 부재인 도리가 놓여 상부의 서까래를 지지한다. 이런 연유로 보와 도리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놓이게 된다. 건축물에서 가장 중요한 부재가 보와 도리인 관계로 ‘동량(棟樑)’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국가의 뛰어난 인재를 지칭하기도 한다.
역사적으로 보를 지칭하는 용어로는 복(栿)과 더불어 양(樑) 또는 양(粱)이 사용되었다. 『조선왕조실록』에서는 복이 사용된 사례가 드물지만 건축 관련 의궤에서는 많은 내용을 접할 수 있다. 의궤에 따르면 복이라는 부재는 17세기에 한정하여 사용된 경향을 발견할 수 있다. 17세기에 발간된 의궤에서는 보를 지칭하는 용어로 복을 사용했으며, 보와 양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예는 드물다.
한편 18세기에 발간된 의궤에서는 복 대신에 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19세기 이후에 이르러 양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모두 보를 가리키는 용어로, 뜻은 같으나 시대에 따라 용어의 사용이 달라지는 모습을 극명히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복이 사용된 대표적인 의궤로는 장서각에 소장된 『창덕궁수리도감의궤』를 들 수 있다.
보는 건축 평면에서 길이가 짧은 방향으로 결구되고, 길이가 긴 방향으로는 도리가 결구된다. 길이가 긴 부재보다 짧은 부재가 건축 구조물로서 훨씬 적합하기 때문에 짧은 방향으로 보를 결구해 건물을 구성하는 것이다. 만약 보를 평면에서 긴 방향으로 사용했을 때는 보의 길이만 길어지는 것이 아니라 훨씬 강한 하중에 대응해야 하기 때문에 보의 단면적 역시 커져야만 한다. 일반적인 대들보 부재도 구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에서 이것은 매우 비합리적인 모습일 것이다.
보의 단면 형상은 시대에 따라 달라진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고려시대 주심포 건축물에서는 보의 단면이 항아리 모양을 닮은, 소위 항아리형 보가 사용되었다. 보의 단면 형태를 위쪽은 넓고 아래쪽은 좁게 만들어 모양이 항아리와 닮은 형태였는데 건축물의 미적인 면을 강조한 결과이다. 조선시대에 들어서면 항아리형 보는 찾아보기 어렵다. 대신 목재의 단면적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향으로 변화되었다.
@@00002596_02_복
하나의 건물에는 건물의 규모에 따라 여러 종류의 보가 같이 사용되는데, 대들보[大樑], 종보[宗樑], 중보[中樑], 툇보[退樑], 충량(衝樑), 맞보[合樑] 등이 있다. 가구 형식이 가장 간단한 삼량(三樑) 건축물의 경우는 보가 하나만 사용되기 때문에 따로 접두어를 붙이지 않고 양이나 보라고 칭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평량(平樑)이라고 칭한 경우도 있다. 오량(五樑) 건축물에서는 내부에 고주(高柱)를 몇 개 사용했는지에 따라 사용하는 보의 양상도 달라진다. 고주를 사용하지 않은 오량 건축의 경우는 대들보와 종보만으로 건물의 가구가 완성된다.
고주를 하나 사용한 경우는 대들보와 종보에 더하여 툇보가 사용되며, 고주를 두 개 사용한 경우는 대들보와 두 개의 툇보로 건축물의 가구를 완성한다. 건축물에 중보가 사용된 경우는 칠량 이상의 건축물에서 나타나게 되는데, 중량을 사용한 건축물은 그 수가 많지 않다. 충량이라는 보는 지붕의 형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지붕의 형태가 팔작지붕 혹은 우진각 지붕일 때 사용하는 보로서, 다른 보가 평면에서 길이가 짧은 방향으로 사용되는 반면 충량은 일반 보들과 직각으로 사용한다.
참고문헌
- 『창경궁수리소의궤(昌慶宮修理所儀軌)』
- 『창덕궁수리도감의궤(昌德宮修理都監儀軌)』
- 『저승전의궤(儲承殿儀軌)』
- 『창덕궁창경궁수리도감의궤(昌德宮昌慶宮修理都監儀軌)』
- 『창덕궁만수전수리도감의궤(昌德宮萬壽殿修理都監儀軌)』
- 『영녕전수개도감의궤(永寧殿修改都監儀軌)』
- 『남별전중건청의궤(南別殿重建廳儀軌)』
- 『경덕궁수리소의궤(慶德宮修理所儀軌)』
- 『종묘개수도감의궤(宗廟改修都監儀軌)』
- 『의소묘영건청의궤(懿昭廟營建廳儀軌)』
- 『수은묘영건청의궤(垂恩廟營建廳儀軌)』
- 『건원릉정자각중수도감의궤(健元陵丁字閣重修都監儀軌)』
- 『경모궁개건도감의궤(景慕宮改建都監儀軌)』
- 『문희묘영건청등록(文禧廟營建廳謄錄)』
- 『화성성역의궤(華城城役儀軌)』
- 『인정전영건도감의궤(仁政殿營建都監儀軌)』
- 『현사궁별묘영건도감의궤(顯思宮別廟營建都監儀軌)』
- 『서궐영건도감의궤(西闕營建都監儀軌)』
- 『창경궁영건도감의궤(昌慶宮營建都監儀軌)』
- 『창덕궁영건도감의궤(昌德宮營建都監儀軌)』
- 『종묘영녕전증수도감의궤(宗廟永寧殿增修都監儀軌)』
- 『남전증건도감의궤(南殿增建都監儀軌)』
- 『진전중건도감의궤(眞殿重建都監儀軌)』
- 『영희전영건도감의궤(永禧殿營建都監儀軌)』
- 『중화전영건도감의궤(中和殿營建都監儀軌)』
- 『경운궁중건도감의궤(慶運宮重建都監儀軌)』
- 경기문화재단 편집부, 『화성성역의궤 건축용어집』, 경기문화재단, 2007.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