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선(門扇)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출입을 위해 여닫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문짝.

개설

문선(門扇)은 출입을 위해 여닫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문짝을 의미한다. 문헌기록에 보이는 문선의 용례는 『서계집록』을 비롯하여 『화성성역의궤』, 『각릉수개등록』, 『장릉첨록』, 『장릉등록』, 『선의왕후혼전도감의궤』 등 일부에서만 용례가 확인될 뿐이다. 이들 문헌 기록에 의하면, 문선은 문짝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 건축의 문짝은 그 구성 재료와 형태에 따라 다양한 유형이 있으나 문선은 판자로 만들어진 판문(板門)으로 성문과 대문, 협문, 창고와 부엌의 문 등에 사용되었다.

문선과는 달리 한자 표기는 다르나 발음이 같은 문선(門楦)이 있다. 그러나 문선(門楦)은 문짝을 매달기 위해 문짝 양 옆에 세우는 네모진 단면의 부재, 즉 문설주를 의미한다. 또한 기둥에 붙여서 세우는 문선(門楦)은 벽선(壁楦)이라 부를 수 있다.

연원 및 변천

문은 출입을 위한 시설로 건축에 필수적인 요소이며 건축의 발생과 역사를 같이 한다고 할 수 있다. 건축과 더불어 문이 발생한 이후 문은 건축술의 발달과 더불어 다양한 형식으로 발전하였다. 성문과 궁문, 대문을 비롯한 중문과 협문 등 외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문, 그리고 창고나 부엌과 같이 외부와 내부를 연결하는 문이라 할지라도 튼튼한 구조를 필요로 하는 문은 문의 위와 아래, 경우에 따라서는 중간에까지 수평으로 띳장이라 부르는 각목(角木)에 의지해 판재를 이어 붙여 만든 판문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이 판문의 문짝을 조선시대의 문헌 기록에서는 문선으로 기록하고 있다. 즉 문선은 판문으로 된 튼튼한 구조의 문짝을 말하는 것으로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모든 시대에 걸쳐 사용되었다.

형태

문의 위와 아래, 경우에 따라서는 중간에까지 수평으로 띳장이라 부르는 각목에 의지해 판재를 이어 붙여 만든 것으로 판문이라고도 부른다.

참고문헌

  • 『선의왕후혼전도감의궤(宣懿王后魂殿都監儀軌)』
  • 『서계집록(書啓輯錄)』
  • 『화성성역의궤(華城城役儀軌)』
  • 『각릉수개등록(各陵修改謄錄)』
  • 『장릉등록(莊陵謄錄)』
  • 경기문화재단 편집부, 『화성성역의궤 건축용어집』, 경기문화재단, 2007.
  • 신기철ㆍ신용철, 『새우리말 큰사전』, 삼성출판사, 1991.
  • 장기인, 『한국건축사전』, 보성문화사, 1991.
  • 주남철, 『한국건축의장』, 일지사,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