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사(大學士)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초 예문춘추관(藝文春秋館)의 장관.

개설

예문춘추관에 편성된 정2품 전임관이고, 정원은 2명이다. 장관으로서 아문의 직장으로 규정된 논의(論議)·교명(敎命)·국사(國史) 등의 일을 관장하였다.

담당 직무

1392년(태조 1) 관제 개정 시 예문춘추관에 편성되어 국사를 수찬할 때에는 시중 이상이 겸한 감관사의 지휘를 받아 관아사를 총관하였고, 논의와 교명 등의 일은 학사 이하를 자휘하면서 총관하였다. 대학사(大學士)는 학식이 탁월하고 명망이 높았던 인물이 제소(除召)되었기에 도평의사사동판사(都評議使司同判事)를 겸하거나(『태조실록』 1년 12월 13일), 의정부 구성원이 되어 도평의사사나 의정부의 정사 논의에 참여하였다.

변천

대학사는 고려초에 문덕전(文德殿)과 연영전(延英殿)에 종2품직으로 대학사를 둔 것에서 비롯되었고, 이후 고려시대를 통하여 보문각(寶文閣), 수문전(修文殿), 집현전(集賢殿), 한림원(翰林院) 등에 설치되어 운영되다가 1362년(고려 공민왕 11)에 대제학으로 개칭되면서 예문관, 보문각, 우문관(右文館), 진현관(進賢館)에 종2품직으로 설치되었다.

조선의 대학사는 1392년 관제 반포 때 1389년(고려 공양왕 1) 이래의 예문춘추관을 계승하여 예문춘추관을 두고 그 관원으로 시중(侍中) 이상이 겸하는 감관사(監館事) 1명에 이어 정2품 전임직인 대학사 2명과 정2품관 이상 겸직인 지관사(知館事) 이하와 종2품 전임직인 학사 이하를 두면서 설치되었다. 그러다가 1401년 관제개편 때 예문춘추관이 예문관과 춘추관으로 분립되고 대학사 이하가 대제학 1직 이하로 개칭되고 예문관관이 되면서 소멸되었다. 이 예문관 대제학은 1457년(세조 3)에 정2품관의 겸직이 되었고, 이후 1894년(고종 31) 갑오개혁 때 예문관이 혁파될 때까지 계승되었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경국대전(經國大典)』
  • 『대전회통(大典會通)』
  • 최정환, 『역주 『고려사』 백관지』, 경인문화사, 2006.
  • 한충희, 「조선초기 의정부연구」상, 『한국사연구』 31, 1980.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