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계(合契)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합계 |
한글표제 | 합계 |
한자표제 | 合契 |
관련어 | 대동계(大同契), 상계(上契), 상하합계(上下合契), 하계(下契) |
분야 | 사회/향촌/계 |
유형 | 개념용어 |
시대 | 조선 |
왕대 | 조선 |
집필자 | 이해준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합계(合契) |
조선후기에 나타난 상층민과 하층민을 결합한 형태의 대동계.
개설
합계(合契)는 17세기 상층민과 하층민을 결합한 상하합계(上下合契) 형태의 대동계(大同契)를 이르는 말이다. 동계(洞契)·동약(洞約) 조직은 16세기에 일반화된 사족 결사체로서 향촌 사회에서 사족 지배 체제가 정착되어 가는 상승기의 산물이었다. 반면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17세기에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상하합계 형태의 동계는 사족 지배 질서가 와해되고 동요되던 시기에 그것을 유지·존속시키려는 목적으로 재결성된 것이었다.
내용 및 특징
16세기의 동계는 사족 지배 체제가 정착되는 가운데 신분 질서를 강요하는 사족 중심의 상계(上契)가 주도하는 폐쇄적인 형태였다. 17세기에 이르러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사족의 향촌 지배력이 약화되자 사족은 일반 백성인 하층민의 하계(下契)를 포용하며 상하합계 형태의 계 조직을 결성하였다. 이는 위기를 느낀 재지 사족들이 결속하여 향촌 사회를 안정시키고 향촌민을 효율적으로 통제하기 위한 목적에서 마련한 것이었다.
계의 목적은 마을 주민의 결속과 공동체적 질서를 도모하는 것이었다. 특히 조세 부담이 마을 단위인 공동납 형태로 운영되고 있던 조선후기의 상황에서 이와 같은 동계의 역할은 매우 컸다. 하민들은 상하합계에 참여하면서 동계 재원을 공평하게 운영할 것을 강조하는 한편 공동납 형태로 운영되는 조세 납부에 대해 납세액의 조정과 부담량에 대한 형평의 문제를 제기함으로써 마을에서의 활동 영역을 확대해 나갔다.
상하합계와 관련된 자료들은 책으로 묶여 전하는[成冊] 고문서 자료에서 많이 전하며, 대개 동헌(洞憲)과 동규(洞規), 좌목(座目)인 동안(洞案), 완의(完議)와 절목 등을 비롯한 동계책(洞契冊)과 치부(置簿)류 고문서 자료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변천
하층민과의 유대가 강조되는 상하합계 형태의 대동계가 일반화되면서 하층민은 사족 지배에 대응하기 시작했다. 이처럼 상하합계는 사족층이 촌락 사회 내에서 상·하민 질서를 재확립하려는 의도를 표출한 것인 동시에, 하층민을 기반으로 하는 사족 층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도전 받고 있음을 보여 주는 현상이기도 했다.
참고문헌
- 이해준, 『조선시기 촌락 사회사』, 민족문화사, 1996.
- 김용덕, 「동계고(洞契考)」, 『두계이병도박사 구순기념한국사학논총』, 지식산업사, 1987.
- 박경하, 「왜란 직후의 향약에 대한 연구: 고평동을 중심으로」, 『중앙사론』5, 1987.
- 이해준, 「조선 후기 영암 지방 동계의 성립 배경과 성격」, 『전남사학』2, 1988.
- 이해준, 「조선 후기 촌락 구조 변화의 배경」, 『한국문화』14, 1993.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