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토(鹹土)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소금이나 염초를 만들기 위해 채취하거나 만들어진 짠 흙.

연원 및 변천

함토(鹹土)는 크게 두 가지 용례로 쓰인다. 첫째, 소금 생산에 필요한 함토이다. 둘째, 염초 생산에 필요한 함토이다. 우선 소금 생산에 쓰인 함토를 살펴보면, 소금 생산 방식은 지역과 자연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크게 해수직자식(海水直煮式)과 무제염전식(無堤鹽田式)의 2가지 방식으로 소금을 생산하였다. 이 중 무제염전식에서 함토를 주로 사용하였다. 해수직자식은 바닷물을 직접 끓여서 소금을 만들었으므로 함토를 쓸 일이 없었다. 무제염전식은 갯벌이 있는 곳에서 가능한 방식이었으므로 주로 서남해안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서남해안에서는 상하현 때 바닷물이 물러간 후 써레를 단 소를 이용하여 염전바닥을 하루에 2~3차례 갈아엎었다. 이렇게 하면 갯벌의 흙이 햇볕을 쪼이면서 소금기가 모래 알갱이에 달라붙어 함토가 만들어진다. 이러한 써레질을 반복하면 소금 농도가 짙은 함토로 변화한다. 이렇게 만든 함토를 바닷물에 적시면 바닷물의 소금 농도가 높아진다. 이를 염분에 끓이면 소금이 되는 것이다.

염초 생산에 쓰인 함초를 살펴보면, 우선 조선에서 화약 생산을 위해서 염초를 확보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일이었다. 조선초기 화약은 염초, 유황, 목탄 등 3가지 원료로 만들었는데, 목탄은 조선에도 흔해 확보가 쉬웠고, 유황은 일본과 무역을 통해 조달할 수 있었다.

염초의 경우는 특수한 토양에서만 생산되어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상황이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고 화약 생산량이 현격하게 증가하면서 염초의 필요성은 더욱 증가하였다. 조정은 염초를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일본이나 명의 염초제조법을 국내에 도입하기 위해 애썼다. 특히 후금이 명나라를 사르허 전투에서 패배시키고 조선을 침략하면서 염초의 수입이 사실상 금지되어 염초의 국내생산은 더욱 강조되었다. 1631년(인조 9)에 정두원이 북경에서 염초 제조법을 몰래 배워옴에 따라 국내의 염초 생산도 활발해졌다.

생활 및 민속 관련 상황

『신전자취염초방(新傳煮取焰硝方)』에 따르면 염초는 함토(鹹土)와 재[炭]를 섞어 물로 거른 후 그 물을 다시 재련하도록 되어 있다. 함토는 여염집 근처에서 확보할 수 있는 것이었다. 1615년(광해군 7) 훈련도감의 상소에 따르면 “함토는 사람이 거주하지 않는 산과 들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오래된 집과 사람들이 왕래하는 근처에서 취하여 쓸 수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에 따른 폐단도 만만치 않았다. 관원들이 함토를 채취한다는 이유로 민가에 들어가서 행패를 부리는 일이 빈번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 민승기, 『조선의 무기와 갑옷』, 가람기획, 2004.
  • 김의환, 「조선후기 충청도의 소금생산과 생산방식」, 『조선시대사학보』28, 2004.
  • 유승주, 「조선후기 군수공업에 관한 일연구-군영문의 화약제조실태를 중심으로-」, 『군사』3, 1981.
  • 허태구, 「17세기 조선 염초무역과 화약제조법 발달」, 『한국사론』47, 2002.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