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진관(特進官)
sillokwiki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특진관 |
한글표제 | 특진관 |
한자표제 | 特進官 |
관련어 | 경연(經筵) |
분야 | 정치/행정/관직·관품 |
유형 | 직역 |
시대 | 조선 |
왕대 | 조선 |
집필자 | 김경수 |
관품 | 종일~종이품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특진관(特進官)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성종실록』 17년 5월 29일, 『성종실록』 17년 5월 7일 |
경연에 참석하여 왕의 고문에 응하던 문·무관직.
개설
특진관(特進官)은 성종대에 경연에 참석하여 왕의 고문에 응하던 관직으로 설치되었다. 문관만이 아니라 무관·음관도 참여하였으며 정원은 없었다.
담당 직무
특진관은 왕과 더불어 경서와 사서를 논하는 자리에 참석하여 왕의 고문에 응하는 임무를 담당하였다. 특진관에는 문관뿐만 아니라 무관도 임명하였는데 이는 문관으로 이루어진 경연관에 비해 그 직무를 국정 전반으로 확대시키려는 의도가 강했다고 할 수 있다(『성종실록』 17년 5월 29일). 또한 원칙적으로 문관만이 입시(入侍)하는 경연에 무관도 참여하도록 하여 강학(講學)이라는 경연 본래의 기능을 확대시킨 것을 의미한다.
변천
1486년(성종 17) 성종은 경연관 외에 종1~종2품관 즉, 재상으로서 고문에 대비할 만한 자를 가려서 ‘특진관’이라고 이름하고, 매번 경연에 2명씩 돌려가며 입시하게 하라는 전교를 승정원에 내렸다(『성종실록』 17년 5월 7일). 이때의 기사에 의하면 1486년에 처음 특진관이 설립되어 운영된 것으로 보이지만, 『증보문헌비고』에는 성종 즉위 초부터 있었던 것으로 기록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 권연웅, 「조선 성종조의 경연」, 『한국문화의 제문제』, 국제문화원, 1982.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