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원보(通遠堡)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통원보 |
한글표제 | 통원보 |
한자표제 | 通遠堡 |
동의어 | 진이보(鎭夷堡) |
관련어 | 동팔참(東八站), 사행로(使行路) |
분야 | 정치/외교/외교사안 |
유형 | 지명 |
지역 | 중국 |
시대 | 조선 |
왕대 | 조선 |
집필자 | 이규철 |
이칭 | 진이보(鎭夷堡)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통원보(通遠堡)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세조실록』 10년 4월 18일, 『세조실록』 10년 8월 24일, 『세조실록』 10년 9월 13일, 『세조실록』 10년 10월 16일 |
중국 요동 지역의 군사 요충지인 동팔참의 하나로 조선 사행단의 행로 중 하나.
개설
동팔참이란 조선과 중국과의 첫 접경 지역인 진강성(鎭江城)에서부터 탕참(湯站)-책문(柵門)-봉황성(鳳凰城)-진동보(鎭東堡)-통원보(通遠堡)-연산관(連山關)-첨수참(甛水站)-요동(遼東)-십리보(十里堡)-심양(瀋陽)에 이르는 육로에 있는 지역을 지칭하는 것이다. 하지만 같은 동팔참에 대한 설명이라도 조선 사신들의 사행 기록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다. 동팔참 지역은 평소에는 물론 원·명 교체기나 명·청 교체기에도 자주 전투가 벌어졌던 곳이기 때문에 군사적으로 매우 중요하였다.
통원보(通遠堡)는 동팔참 중에서도 특히 군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명에서는 요동 지역의 정세가 불안할 때는 통원보에 병력을 추가로 파견해 여진과 몽골 세력 등 북방 세력의 동향을 감시하였다. 이곳을 지나 북경으로 가야 했던 조선 사행단은, 이 지역의 정세가 불안할 때에는 특별히 호위 병력과 함께 통원보까지 가기도 하였다. 조선은 통원보부터는 조선의 사행단을 호위할 만한 병력과 방어 체제가 갖추어져 있다고 판단하였다.
관련 기록
1464년(세조 10) 4월 세조는 원접사(遠接使)박원형(朴元亨)으로부터 명에서 변란을 우려해 백안동(伯顔洞)에서부터 통원보에 이르기까지 후망(候望: 높은 곳에서 적을 관찰하는 경비대)을 줄지어 설치하였다는 보고를 받았다(『세조실록』 10년 4월 18일). 이러한 정황에 따라 세조와 조정 대신들은 의주와 부근 여러 고을의 정예 병력 500명을 징발해서 10명의 장수가 각각 50명을 거느리고 성절사(聖節使)를 호송하여 통원보까지 호위해 갔다가 돌아오도록 조치하였다(『세조실록』 10년 8월 24일).
같은 해 9월 사은사(謝恩使)권기(權技)는 명에서 삼위달자(三衛達子)가 개원(開原)을 공격해 5명을 포로로 잡아간 사건 때문에, 요동의 군사 1,000명이 통원보를 방어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고하였다(『세조실록』 10년 9월 13일). 이에 세조는 평안도도관찰사(平安道都觀察使)오백창(吳伯昌)과 도절제사(都節制使)양정(楊汀)에게 2가지 사안에 대하여 지시하였다. 우선 의주 부근 여러 진(鎭)의 군사 500명을 뽑아 무략 있는 장수에게 영솔하도록 해서 사은사와 정조사(正朝使) 일행을 통원보까지 호송도록 조치하였다. 또한 이들이 귀국할 때에도 다시 군사 200명을 선발해서 무략 있는 장수에게 영솔하도록 해서 통원보에서 영접해 오도록 지시하였다(『세조실록』 10년 10월 16일).
참고문헌
- 『명사고(明史稿)』
- 『명통감(明通鑑)』
- 『명사(明史)』
- 『대명일통지(大明一統志)』
- 『요동지(遼東志)』
- 『전요지(全遼志)』
- 『조천기(朝天記)』
- 『노가재연행일기(老稼齋燕行日記)』
- 『통문관지(通文館志)』
- 『연원직지(燕轅直指)』
- 남의현, 『명대 요동지배정책연구』, 강원대학교 출판부, 2008.
- 김일환, 「연행록에 나타난 ‘구혈대’의 의미 연구」, 『한국문학연구』 43,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2.
- 김태준, 「중국내 연행 노정고」, 『연행록연구총서』, 숭실대학교 한국전통문예연구소 학술총서, 2006.
- 박원고, 「2. 명과의 관계」, 『한국사』 22, 국사편찬위원회, 1995.
- 서인범, 「최부 『표해록』 연구-최부가 묘사한 중국의 강북과 요동-」, 『국사관논총』 102, 국사편찬위원회, 2003.
- 이승수, 「연행로 중 ‘요양-안산-광녕 구간’에 대한 인문지리학적 검토」, 『한국한문학연구』 47,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1.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