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通信)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전기에 사역원의 왜학에서 사용한 일본어 교재.

개설

『통신(通信)』은 1430년(세종 12) 상정소(詳定所)에서 제학(諸學)의 취재에 출제서를 정하여 보고한 계문(啓文)(『세종실록』 12년 3월 18일)과 『경국대전』「예전(禮典)」 ‘역과(譯科)초시 왜학(倭學)’의 출제서에 있었다. 또 『통문관지(通文館志)』(권2) 「과거(科擧)」 왜학팔책(倭學八冊)조에 초창기에 사용한 14종의 일본어 교재에도 있어 조선전기에 사역원에서 사용한 일본어 교재임을 알 수 있다.

편찬/발간 경위

사역원의 왜학에서 교재로 사용하였던 『이로하(伊路波)』·『소식(消息)』·『정훈왕래(庭訓往來)』 등은 모두 일본 무로마치(室町)시대에 테라코야(寺子屋)에서 사용하던 동몽교과서였다. 『통신』도 이때의 교과서로 보이며 사역원에서 이를 수입하여 편찬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원전이 전하지 않아 어떤 교재인지 알 수 없었다. 『통문관지』의 기사에 의하면 1678년(청 강희제 17)부터 『첩해신어』로 모두 바뀌었고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았다고 한다.

서지 사항

원전이 전하지 않는다.

구성/내용

『통신』은 조선전기에 역과(譯科)와 각종 취재(取才)에서 왜학, 즉 일본어의 출제서로 사용되었다. ‘통신(通信)’은 ‘소식을 전하다’이므로 편지 쓰는 방식 등을 교육하는 교재로 보인다. 조선초기에 조선에 들어와 삼포(三浦)에 살던 왜인들로부터 구입하여 교재로 삼은 것으로 추측된다. 일본의 옛 훈몽서 중에는 『소식』과 같이 편지 쓰는 방법을 교육하는 교재가 많았다. 『통신』도 그러한 교재의 하나로 보여 서간문 작성에 대한 지식을 교육하는 교재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 정광, 『사역원 왜학 연구』, 태학사, 1988.
  • 정광, 『역학서 연구』, J&C, 2002.
  • 한우근 외, 『역주 경국대전』(주석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