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자무(太子巫)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죽은 아이의 혼을 신령으로 모시며, 일종의 복화술로 점복을 하는 무당.

내용

태자무(太子巫)는 죽은 아이의 혼을 몸주신으로 모시며 복화술(複話術)을 통해서 마치 공중에 사람이 있는 것처럼 신령의 말을 전하며, 주로 점복을 한다. 이는 현존 민속에서 어린 아이의 죽은 혼령이 실린 새타니 무당을 일컫는다. 태자무는 그 호칭에 대한 유래를 알 수 없으며, 공창(空唱)을 한다는 점에서 공창무과 유사하다.

특히 태자무는 과거를 밝히고 미래를 예언하는 능력이 출중했던 것 같다. 실제 1521년(중종 16)에 태자무에 대해서 ‘연소자지혼유험운(年少者之魂有驗云)’이라고 하였다.

용례

處謙曰 吾妻問太子巫 巫曰 彼邊面暫縛而頣尖者作頭 欲除汝曹 納諸他人所閉之門 但汝類寔繁 故不能耳 (중략) 翌日 與處謹往梵山窟寺 談話間 處謹謂臣曰 巫云 趙光祖之鬼 捉洪景舟而去 洪舜福之鬼 捉李蘋奴子而去 李蘋之奴死矣 聽魂時巫云 洪舜福捉我而去 非吾命短也 今將捉吾上典云 上典夢見喪者 則上典必死矣 李蘋 其後夢見喪者 俄而得病而死 年少者之鬼 有驗云(『중종실록』 16년 10월 11일)

참고문헌

  • 이능화 지음, 서영대 역주, 『조선무속고』, 창비, 2008.
  • 민정희, 「조선전기 무당의 호칭과 종류」, 『역사민속학』10, 2000.
  • 손진태, 「조선급 중국의 복화무」, 『조선민조문화의 연구』, 을유문화사, 1948.
  • 이관호, 「태주무당」, 『한국민속신앙사전-무속신앙』2, 국립민속박물관, 2009.
  • 이필영, 「조선후기의 무당과 굿」, 『정신문화연구』53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3.
  • 최윤오, 「태자무」, 『한국고전용어사전』5,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 허용호, 「태주」, 『한국민속신앙사전-무속신앙』2, 국립민속박물관,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