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시(太始)
sillokwiki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태시 |
한글표제 | 태시 |
한자표제 | 太始 |
분야 | 연호 |
유형 | 연호 |
지역 | 중국(中國) |
시대 | 서진(西晉) |
왕대 | 무제(武帝) |
집필자 | 김가람 |
사용지역 | 중국-서진 |
사용왕대 | 무제 |
사용기간 | 265년~274년(무제1~무제10)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태시(太始) |
중국(中國) 서진(西晉)의 무제(武帝) 대에 사용한 연호(265년~274년: 무제1~무제10).
그 외에
중국 전량(前涼)의 충왕(沖王)이 사용한 연호(355년~356년).
발해(渤海) 간왕(簡王) 대에 사용한 연호(818년).
개설
중국 서진의 초대 황제인 무제가 사용한 3개의 연호 가운데 첫 번째 연호이다(265년~274년).
조선(朝鮮)에서는 정치 · 사회 · 문화적 변화 및 자연 재해 등의 현상이 발생하면 일반적으로 중국의 예를 참조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태시(太始) 연호도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 등장하고 있다.
이 외에도 중국 전량(355년~356년)과 발해(818년)에서도 태시 연호를 사용하였으나, 『조선왕조실록』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참고문헌
- 『중종실록(中宗實錄)』
- 『정조실록(正祖實錄)』
- 『삼국지(三國志)』
- 이현종 편, 『동양연표(東洋年表)』, 탐구당,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