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강(太康)
sillokwiki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태강 |
한글표제 | 태강 |
한자표제 | 太康 |
분야 | 연호 |
유형 | 연호 |
지역 | 중국(中國) |
시대 | 진(晉) |
왕대 | 무제(武帝) |
집필자 | 김가람 |
사용지역 | 중국-진 |
사용왕대 | 무제 |
사용기간 | 280년~289년(무제16~무제25)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태강(太康) |
중국(中國) 진(晉)나라 무제(武帝) 대에 사용한 연호(280년~289년).
그 외에
중국 요(遼)나라 도종(道宗) 대에 사용한 연호(1075년~1084년: 도종21~도종30).
개설
중국 진나라의 초대 황제인 무제가 사용한 연호이다(280년~289년). 280년 3월 무제는 오(吳)나라를 멸망시키고, 다음 달인 4월에 태강(太康)으로 개원하여 289년까지 9년 9개월간 사용하였다.
조선(朝鮮)에서는 정치 · 사회 · 문화적 변화 및 자연 재해 등의 현상이 발생하면 일반적으로 중국의 예를 참조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태강 연호 또한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 등장하고 있다.
이 외에 태강은 중국 요나라 제 8대 황제인 도종이 사용한 5개의 연호 가운데 3번째 연호이기도 하다(1075년~1084년). 그러나 『조선왕조실록』에 도종의 태강 연호는 등장하지 않는다.
참고문헌
- 『성종실록(成宗實錄)』
- 『선조실록(宣祖實錄)』
- 『진서(晉書)』
- 『요사(遼史)』
- 이현종 편, 『동양연표(東洋年表)』, 탐구당,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