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생문(春生門)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춘생문 |
한글표제 | 춘생문 |
한자표제 | 春生門 |
상위어 | 경복궁(景福宮) |
동의어 | 춘생문 사건(春生門事件) |
관련어 | 을미사변(乙未事變), 을미왜변(乙未倭變), 정동파(貞洞派), 친위대(親衛隊), 파천(播遷) |
분야 | 왕실/왕실건축/궁궐건축물 |
유형 | 건축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후기 |
집필자 | 정욱재 |
장소 | 경복궁(景福宮) |
관련 인물 | 고종(高宗), 이범진(李範瑨), 이윤용(李允用), 이완용(李完用), 윤웅렬(尹雄烈), 윤치호(尹致昊), 이하영(李夏榮), 민상호(閔商鎬), 현흥택(玄興澤), 남만리(南萬里), 이규홍(李奎泓), 언더우드(Underwood, H. G.), 에비슨(Avison, O. R.), 헐버트(Hulbert, H. B.), 다이(Dye, W. Mc), 알렌(Allen, H. N.), 베베르(Veber, K. I.)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춘생문(春生門)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고종실록』 32년 11월 15일 |
1895년(고종 32) 11월 28일 이른바 친미·친러파가 주동이 되어 을미사변 이후 유폐되어 있던 고종을 탈출시키기 위해 이용한 경복궁 북동쪽 신무문 밖의 후원 동쪽 문.
개설
춘생문은 경복궁 북동쪽의 신무문(神武門) 밖의 후원 동쪽 문으로 고종이 을미사변 이후 궁궐 내에 억류 상태에서 측근 세력을 결집해 궁궐을 탈출하려고 한 장소이다. 1895년 10월에 발생한 을미사변 이후 친일정권에 의해 유폐되다시피 한 고종은 측근과 궁궐 내외의 친위 세력을 이용하여 경복궁 밖으로 탈출하려고 하였다. 이를 춘생문 사건이라고 한다. 당시 정동파(貞洞派)로 불렸던 이범진(李範瑨), 이윤용(李允用), 이완용(李完用), 윤웅렬(尹雄烈), 윤치호(尹致昊), 이하영(李夏榮), 민상호(閔商鎬), 현흥택(玄興澤) 등이 합세하였다. 또한 친위대 제1대대와 제2대대 소속 장교 수십 명이 장병들을 인솔해서 가세하였고, 외국인으로는 언더우드(Underwood, H. G.), 에비슨(Avison, O. R.), 헐버트(Hulbert, H. B.), 다이(Dye, W. Mc) 등의 미국인 선교사 및 교관, 미국공사관 서기관 알렌(Allen, H. N.), 러시아공사 베베르(Weber, K. I.) 등이 배후에서 움직였다. 이들은 1895년 11월 28일 새벽에 800여 명의 군인을 대동하고 경복궁 동쪽에 위치한 건춘문(建春門)에서 입궐을 기도하다가 실패한 후 재차 춘생문의 담을 넘어 궁궐에 돌입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이 계획은 사전에 내관(內官)강석호(姜錫鎬)가 내각에 비밀을 누설하였고, 친위대 대대장이진호(李軫鎬)가 군부대신(軍部大臣)어윤중(魚允中)에게 밀고하여 실패하였다. 이진호는 춘생문의 통과를 보장한 인물이었다. 결국 어윤중 주도로 장병들을 부대로 복귀시키고 주모자의 일부를 체포함으로써 사건은 일단락되었다. 당시 일본은 이 사건을 ‘국왕탈취사건’이라고 하여 대내외에 선전하였다. 그렇지만 고종은 정동파를 이용하여 1896년(고종 33) 2월 11일 러시아 공사관에 이거하는 아관파천(俄館播遷)을 성사시켜 일본의 손아귀에서 벗어났다.
위치 및 용도
경복궁 북동쪽 신무문 외부의 후원 동쪽 문이다.
변천 및 현황
청와대 춘추관(春秋館) 자리로 유추하고 있다.
형태
현전하는 사진상으로는 경복궁 북쪽문인 신무문 밖의 외부 담장에 연결되어 별도로 위치하였다.
관련사건 및 일화
춘생문 사건은 검사(檢事)의 공소(公訴)에 의하여 신속하게 재판에 부쳐졌다. 당시 피고들의 공술에 따르면, 이해 9월에 국왕의 밀지(密旨)를 받고서 사건이 계획되었고, 궁내부(宮內府) 관료의 절반 이상이 관련되었다. 물론 친일정부 측에서는 피고들이 고종의 명령을 위조한 것이라고 하여 사건을 일단락시켰다. 사건의 주역들은 한결같이 태화궁(太和官)에서 대기하다가 춘생문을 통해 궁궐에 들어가 친일대신을 처단하고 고종을 구출한다는 계획이었음을 밝혔다(『고종실록』 32년 11월 15일). 또한 이들은 홍계훈(洪啟薰)의 누이인 홍상궁을 통해 궁내와 연락했으며, 이범진, 윤치호 등을 통해 미국과 러시아 공사관 등의 외국 세력에게 도움을 요청하였다. 실제로 러시아 공사관에서는 일부 공사관 호위병을 파견하여 사건의 진행을 돕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런 과정은 이미 김홍집(金弘集) 내각에 밀고가 되어 실패로 돌아갔다.
참고문헌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주한일본공사관기록(駐韓日本公使館記錄)』
- 국사편찬위원회, 『고종시대사』, 국사편찬위원회, 1967.
- 김영수, 「춘생문사건의 주도세력연구」, 『사림』25, 2006.
- 오영섭, 「고종과 춘생문사건」, 『鄕土서울』68, 2006.
- 이태진, 『고종시대의 재조명』, 태학사, 2000.
- 임경석, 김영수, 이항준, 『한국근대외교사전』, 성균관대학교, 2012.
- 洪景萬, 「春生門事件」, 『이재룡박사환력기념한국사학논총』, 이재룡박사환력기념한국사학논총간행위원회, 1990.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