촉천화(觸天火)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고려시대의 화약을 사용한 병기로, 화약의 힘으로 날아가 적진을 불사르거나 생명을 살상하는 분사식 무기.

개설

촉천화(觸天火)는 고려 말부터 사용한 화약 병기로서, 오늘날의 로켓과 같이 화약의 힘으로 날아가 적진을 불사르거나 사람이나 말을 살상하는 분사식 무기이다. 같은 분사식 무기로 주화·화전·천산오룡전·유화 등이 있다.

연원 및 변천

1377년(고려 우왕 3) 최무선의 건의로 화약 병기를 생산하는 화통도감이 설치되었다. 이 화통도감에서 촉천화 등 18종의 각종 화기와 발사물을 만들었다. 이때부터 고려의 화약 및 화기 제작술이 급속도로 발전하였다.

촉천화는 ‘하늘과 부딪치는 불’이라는 이름의 뜻으로 보아 분사 추진식 화약 무기로 볼 수 있다. 하늘과 부딪쳤다는 표현의 실례는 이색(李穡)이 연등놀이에서 쏘아 올리는 폭죽이 하늘을 나는 것을 보고 시집 『목은집(牧隱集)』권23에서 쓴 “불은 폭포처럼 하늘과 부딪친다. 흡사 빠른 번개 같기도 하여라.”라는 시가 있다. 또 세조 때에는 연등놀이를 기록하면서 백양봉 마루에 직상화(直上火)를 설치하고 저녁때에 동시에 발진시키니 불이 하늘과 부딪쳤다고 하였다(『세조실록』 10년 1월 4일). 이상의 기록에서 하늘과 부딪쳤다는 직상화는 물론 분사식 폭죽이며, 촉천화와 비슷한 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고려에는 촉천화 외에도 천산오룡전·주화·화전·유화 등의 분사식 무기가 있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서서 이들 화기가 신기전(神機箭)으로 발전되어 널리 활용되었다.

형태 및 용도

촉천화는 문헌 기록에 이름만 나올 뿐 그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는 없다. 다만 그 이름에서 형태를 어느 정도 유추해 볼 수 있다. 다만 중국의 예로 볼 때 촉천화는 초기 로켓 무기의 개량형으로, 대나무로 만들고 주변을 종이로 감싸서 강화한 형태였다. 중국 전쟁사에는 ‘마술의 불을 뿜는 까마귀’로 불린 4개의 로켓으로 추진력을 얻는 큰 촉천화와 ‘유령 오리’로 불린 2개의 로켓만 사용하는 작은 촉천화의 2가지 종류가 사용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들 촉천화는 적진에 날아가 폭발하여 적에게 피해를 주는 것은 물론이고 심리적 충격을 주는 효과도 상당히 컸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목은집(牧隱集)』
  • 김기웅 외, 『한국무기발달사』, 국방군사연구소, 1995.
  • 민승기, 『조선의 무기와 갑옷』, 가람기획, 2004.
  • 박재광, 『화염 조선-전통 비밀 병기의 과학적 재발견』, 글항아리, 2009.
  • 박재광 외, 『나라를 지켜낸 우리 무기와 무예』, 경인문화사, 2008.
  • 이강칠, 『한국의 화포』, 동재, 2004.
  • 채연석, 『한국초기화기연구』, 일지사, 1981.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