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평일구(天平日晷)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 세종 때 만든 휴대용 해시계.

개설

천평일구(天平日晷)는 적도시반(赤道時盤)을 가진 휴대용 해시계이다. 1437년(세종 19)에 처음 제작하였으며 말 위에서 사용했다고 한다. 같은 시기에 제작한 현주일구(懸珠日晷)와 크기와 사용법이 유사하다. 하지만 기둥이 중심에 있고, 둥근 못이 남쪽과 북쪽에 있는 특징이 있다. 시반(時盤) 양면에 시각 눈금을 새겨놓고 시반에 맺힌 실 그림자로 시간을 측정하였다. 시반의 윗면은 춘분에서 추분까지, 아랫면은 추분에서 다음 해 춘분까지 사용하는 것이다.

내용 및 특징

1437년 4월에 만든 것으로 전해지나(『세종실록』 19년 4월 15일), 그 이전에 이미 만들어졌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제작자는 분명하지 않다. 다만, 1432년에 세종이 예문관 제학정인지(鄭麟趾)에게 대제학정초(鄭招)와 함께 천문의기(天文儀器)를 만들도록 명한 사실로 보아 정인지와 정초, 이천(李蕆) 등이 제작과정을 전담했을 것으로 보인다.

세종 때 만들어진 해시계로는 천평일구 외에도 앙부일구(仰釜日晷)·현주일구·정남일구(定南日晷) 등이 있었다. 그러나 임진왜란을 기점으로 모두 소실되어 앙부일구 외에는 그 모양을 정확히 알 수 없다.

기록에 따르면, 천평일구는 현주일구와 구조가 거의 비슷하다고 하는데, 다만 현주일구가 시반 북쪽 편에 기둥이 세워진 데 반해 천평일구는 한가운데 세워져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차이점이다. 또한 현주일구가 북쪽 기둥머리에 추를 달아서 아래쪽 십자 표시에 닿게 하여 수평을 유지한 데 반해, 천평일구는 기둥머리에 노끈을 꿰어 그것이 남쪽을 가리키게 하였다. 그리고 현주일구가 남쪽 한곳에만 못[池]을 판 데 비해 천평일구는 남쪽과 북쪽 두 군데에 못을 파고 그 한가운데다 기둥을 세웠다는 것이 특징이다.

‘천평’이라는 이름이 말해주듯이 수평을 더욱 잘 유지하기 위해 두 개의 못을 판 것으로 짐작되며, 시반 한가운데에 100각(刻)이 표시되어 있는 작은 원이 그려져 있었다. 크기에 관해서는 구체적으로 전해지는 바가 없으나 현주일구가 6촌 3푼인 것으로 볼 때, 거의 비슷한 크기였을 것으로 짐작할 뿐이다.

천평일구는 ‘말을 타고 가면서도 시각을 알기 위해 만든’ 시계였음이 특히 강조되고 있다. 때문에 다른 해시계들에 비해 가장 이동하기 편리한 휴대용 시계였으며, 변방이나 군대용으로 사용된 것으로 짐작된다. 『세종실록』에 “말을 타고 가면서도 시각을 알지 않을 수 없으므로 천평일구를 만들었다.”고 하였다. 천평일구는 일종의 휴대용 평면 해시계로 세종대에 제작된 4종의 해시계, 즉 일구 중 가장 간단한 것이었다.

변천

실표를 가진 평면 해시계는 17세기 이후 예수회 선교사를 통해 중국에 도입되었다고 알려져 있었는데, 천평일구에서 보듯이 실표가 달린 해시계가 세종대 제작된 것이다. 그러나 세종대 이후 휴대용 해시계에는 모두 실표가 전부 사라진 형태로 만들어졌다. 또 수평을 잡기 위한 연못도 생략되었다. 세종대 이후에 제작된 천평일구들은 고대 때부터 만든 실표 없는 평평한 지평일구와 같은 모양으로 다시 돌아갔다.

참고문헌

  • 『제가역상집(諸家曆象集)』
  •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 박성래, 「세종대의 천문학 발달」, 『세종조문화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 전상운, 「이씨조선의 시계제작 소고」, 『향토서울』, 1971.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