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명당(浚明堂)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904년(광무 8) 지금의 덕수궁인 경운궁 대화재 이후 만들어진 편전.

개설

경운궁 내 준명당이 위치한 곳에는 원래 경운당(慶雲堂), 덕경당(德慶堂), 관명전(觀明殿) 등이 위치하고 있었는데, 1904년 경운궁 화재 이후(『고종실록』 41년 5월 14일) 재건 과정에서 준명당이 만들어졌다.

위치 및 용도

경운궁 내 즉조당과 석조전(石造殿)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준명당이 만들어지기 전에는 다른 이름의 건물이 있었다. 1900년(광무 4), 준명당 자리에 경운당이 있던 때에는 이곳에서 영정모사를 진행하면서 준원전본의 태조 영정을 임시 봉안한 일이 있다. 1901년(광무 5)에는 명헌태후(明憲太后) 홍씨(洪氏)의 71세를 경축하는 진찬연이 이루어졌다. 준명당이 된 이후로는 덕혜옹주(德惠翁主)를 위한 유치원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변천 및 현황

아관파천 이후 고종의 명으로 만들어진 초기 경운궁에 준명당은 존재하지 않았다. 준명당은 1904년에 발생한 경운궁 대화재 이후 재건 과정에서 등장한다. 그러나 현재 준명당이 위치하고 있는 곳에 건축물이 없었던 것은 아니며, 준명당이 아닌 다른 당호의 건축물이 조성되어 있었다.

이곳에 위치하고 있었던 건축물의 당호로 현재까지 알려진 것에는 경운당, 덕경당, 관명전이 있다. 이들 당호는 모두 1910년(융희 4) 이후에 등장하며 이전에도 이곳에 건축물이 있었으리라 짐작할 수는 있으나, 어떤 건물이 있었는지 현재로서는 알기 어렵다. 다만 정전인 즉조당(卽阼堂) 왼편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편전의 역할을 담당한 건축물이 있었을 것으로 짐작되며, 이에 해당하는 건물로 청목재(淸穆齋)를 추측할 수 있다.

경운당은 『[신축]진찬의궤([辛丑]進饌儀軌)』에 묘사된 「경운당도(慶運堂圖)」를 볼 때 준명당 위치에 존재했던 건물임이 분명하다. 「경운당도」에 묘사된 경운당은 정면 6칸, 측면 2칸의 평면에 팔작지붕을 하고 있다. 즉조당과는 담장 및 행각으로 구획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덕경당과 관련된 내용은 『고종실록』 등에 등장한다. 이때 영건도감에서 덕경당을 새롭게 중건했는데 전호를 관명전으로 했다(『고종실록』 39년 10월 18일). 새롭게 만들어진 관명전의 모습은 『[임인]진연의궤([壬寅]進宴儀軌)』의 「관명전도(觀明殿圖)」를 통해 알 수 있다. 관명전은 정면 9칸, 측면 4칸의 평면인데, 관명전은 경운당과 같은 위치에 그려져 있다. 즉 경운당에서 덕경당으로, 덕경당에서 관명전으로 변경된 것이다. 이때 기존 건물보다 규모를 크게 하다 보니 즉조당과의 사이에 있던 담장 및 행각은 사라지게 되었다.

1904년 4월 14일 경운궁에 화재가 발생했다. 영선사(營繕司)에서 함녕전(咸寧殿) 온돌을 수리하던 중 불이 다른 곳에 옮겨 붙어 대화재가 발생한 것이다. 대화재 이후 각 건물이 재건되는 과정에서 현재와 같은 준명당이 건립되었다. 새롭게 만들어진 준명당은 전면에 행각을 갖고 있고, 서쪽에 화초장 19칸이 만들어졌으며, 북쪽으로 즉조당과 더불어 화초장 29칸이 만들어졌다. 즉조당과의 사이에 담장을 구성하지는 않았고, 즉조당과 복도로 연결했다. 건물의 평면은 기존의 건물과 다르게 ㄱ자형으로 구성했는데, 중건 당시 경운궁의 많은 건물이 ㄱ자형 평면으로 변경된 것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다.

형태

준명당은 정면 6칸으로 구성되었는데 서쪽에서부터 2~4번째 칸을 대청으로 구성했고, 동북쪽에 4칸의 방을 더해 전체적으로 ㄱ자형 평면을 이루고 있다. 기둥은 방주를 사용했고, 지붕은 팔작지붕을 하고 있으며 공포는 익공식을 사용했다.

관련사건 및 일화

1916년 준명당에 유치원이 설치된 일이 있다. 1912년 5월 25일에 복녕당(福寧堂) 양씨가 고종의 딸인 덕혜옹주를 낳았다. 옹주는 고종의 귀여움을 독차지하며 자랐는데, 1916년 4월 1일에 그녀를 위한 유치원을 준명당에 만들게 하였다. 1916년 『순종실록』에는 고종황제가 준명당 유치원에 방문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순종실록』 9년 5월 8일).

참고문헌

  • 『경운궁중건도감의궤(慶運宮重建都監儀軌)』
  • 『[신축]진찬의궤([辛丑]進饌儀軌)』
  • 『[임인]진연의궤([壬寅]進宴儀軌)』
  • 문화재청, 『덕수궁 복원정비기본계획』, 문화재청, 2005.
  • 문화재청, 『조선시대 궁궐용어 해설』, 문화재청,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