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철장(鑄鐵匠)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주철장 |
한글표제 | 주철장 |
한자표제 | 鑄鐵匠 |
상위어 | 경공장(京工匠), 공장(工匠), 외공장(外工匠), 장공인(匠工人), 장수(匠手), 장인(匠人) |
관련어 | 연장(鍊匠), 연철장(鉛鐵匠), 주성장(鑄成匠), 주장(鑄匠), 주전장(鑄錢匠) |
분야 | 정치/행정/관속 |
유형 | 직역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고려, 조선 |
왕대 | 고려, 조선 |
집필자 | 장경희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주철장(鑄鐵匠)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성종실록』 4년 2월 11일, 『성종실록』 23년 1월 6일, 『세조실록』 6년 8월 1일, 『세종실록』 6년 2월 16일 |
궁중과 지방의 관아 및 사사로이 대장간 가마[爐]에 녹인 쇳물을 부어 기물을 만드는 장인.
개설
한양에 있는 관청에 소속된 경공장과 각 군현에 소속되어 있는 외공장 및 사적으로 대장간을 만들고 단야로(鍛冶爐)를 중심으로 쇠를 두드리는 작업을 주로 했다. 그들은 국가의 장인 제도에 포함되어 장인 명부에 올라있어 국가에서 필요할 때마다 징발하여 각종 무기나 화폐 및 국용 그릇을 만들었다.
이들 주철장(鑄鐵匠)은 철물을 바로 녹여서 기물을 만드는 장인으로서, 정철장은 쇠를 녹이는 자나 그릇을 만드는 장인과는 달라 세금을 매기는 방식에서는 차이가 있었다(『성종실록』 4년 2월 11일).
담당 직무
주철장은 쇠부리가마에서 쇠를 녹여 기물을 만드는 신역(身役)을 졌으며, 소속 관청마다 제작해야 할 물품에 따라 역할이 나뉘었다.
첫째, 공조와 상의원에 소속된 주철장은 국가에서 필요한 각종 그릇이나 기물을 제작하였다. 1492년(성종 23) 공조 소속의 장인이 동과 철로 기명을 주조할 때 관가의 상품 철을 재상가의 질 나쁜 철로 바꾸어 주조하거나 난신(亂臣)의 집에서 몰수한 그릇을 녹여 다시 주조한 경우도 있었다(『성종실록』 23년 1월 6일).
둘째, 군기시에 소속되어 무기를 만드는 일을 하였다. 주철장은 쇠를 녹여 주물을 부어 각종 병장기를 만드는 일을 하였다. 1460년(세조 6) 군기감에는 주성장(鑄成匠)이 15명씩이었는데, 3번으로 나누고 부급사 1명으로 하였다(『세조실록』 6년 8월 1일).
셋째, 화폐 만드는 일을 하였다. 1424년(세종 6) 호조에서 경상도와 전라도의 동전을 주조할 때 지방에 있는 주전장(鑄錢匠)을 모아 교습시키게 하도록 하였다. 이때 주전할 재료는 도내에 파손되어 없어진 사사(寺社)의 동으로 기물을 쓰기로 하고, 탄(炭)은 각도의 포구(浦口)에 당번(當番) 선군(船軍)의 수를 적당하게 감하여 사역에 종사하게 하고, 감주관(監鑄官) 중 정교한 기술을 가진 사람을 서울로 보내어 숙련된 전장(錢匠) 1명을 데리고 내려가서 지방에 있는 주전장을 교습하게 하였다(『세종실록』 6년 2월 16일).
넷째, 교서관에서 책자를 만들 때 마감재를 만드는 일을 하였다. 『영조실록청의궤(英祖實錄廳儀軌)』에 의하면 조선왕조실록』이나 왕실 족보 등 각종 서책을 인쇄한 후 여러 지역에 분정할 때 분판(分版)을 쇠우리로 만들어 마감하는 일을 주철장이 했다.
변천
주철장은 쇠를 처음 다루기 시작하는 철기시대부터 등장하여, 금속의 채광과 제련 및 금속 그릇의 제작을 담당하는 광범위한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삼국시대부터 채광과 제련의 1차 공정과 제강 및 기타 철기 제작의 2차 공정은 분업화되어 주철장은 관영 수공업 체계에 포함되었다. 고려시대에는 철 생산과 수급은 철소(鐵所)에서 담당하였으며, 철기의 제작은 중앙 관청에 소속된 장인이나 민간의 장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이뤄졌다.
조선전기에는 궁궐의 영건과 성곽을 영조하는 대역사에 많은 장인들이 동원되었다. 당시 철의 생산과 수급은 철 생산지에 설치된 철장(鐵場)에서 담당했으며, 시기가 내려갈수록 철 생산이 점차 민영화되어 사영 제철소와 장인들이 증가하였다.
조선후기에 이르면 이들 주철장은 『조선왕조실록』이나 왕실의 족보를 인쇄하기 위해 임시로 설치한 도감에 자주 동원되었다.
참고문헌
- 『경국대전(經國大典)』
- 『만기요람(萬機要覽)』
- 배도식, 「한국의 대장간」, 『한국민속학』 26, 1991.
- 주경미, 「한국 대장장이의 역사와 현대적 의미」, 『역사와 경계』 78, 2011.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