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주목(定州牧)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 평안도 정주목 지역을 관할하던 관청이자 행정구역.

개설

정주목(定州牧)은 고려시대에 강감찬(姜邯贊)의 구주대첩(龜州大捷)이 벌어진 곳이며, 지형상 평안도 서해안 지역을 방어하는 전략적 요충지로서 도호부를 거쳐 정주목이 되었다. 조선시대에도 계속 정3품의 목사가 고을을 관할하였다. 1895년(고종 32)에 의주부 정주군이 되었다.

설립 경위 및 목적

정주목은 고려시대에 서희(徐熙)가 강동6주를 개척할 때 구주(龜州) 지역에 해당하여 고려의 영토가 되었다. 강감찬이 거란의 3차 침입을 막아 낸 구주대첩이 벌어진 곳이기도 하다. 청천강 북쪽 기슭에 위치하고 있어 평안도에서는 비옥한 농토를 소유하고 있으며, 안주와 의주를 연결하는 서해안의 방어선을 구축할 때 두 장소의 거리가 멀어 정주목에 진을 설치하여 국방 요지의 한 축을 담당하도록 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및 홍경래(洪景來)의 난 때 적의 수중에 들어가 참화를 겪기도 하였다.

조직 및 역할

정주목은 조선시대에 평안도 서해안 지역에서 국방상 긴요한 곳으로 인식되어 안주(安州), 의주(義州)와 함께 정3품의 목사를 임명하여 행정과 국방의 업무를 담당하도록 하였다. 조선후기에는 의주가 종2품의 관아로 승격되어 2개의 목(牧)이 있었다. 조선시대의 목은 계수관(界首官)으로서 지방행정의 중심을 이루었기 때문에 하급 지방행정구획인 군·현보다는 여러 가지로 우대되었다. 목사 휘하에는 종5품의 판관(判官)을 두어 목사와 함께 지방행정 전반을 관할하도록 하였다. 이후 『경국대전』에 법제화되었다가 『속대전』에서는 판관이 폐지되었다.

1429년(세종 11)에 평안도의 행정구역을 정리할 때 의주도의 좌익(左翼)에 편제되어 정주목사가 좌익병마(左翼兵馬)를 겸하였으며, 이후에는 군사 전략상 요충지에 위치하여 독진(獨鎭)을 설치하였고 목사가 겸하도록 하였다. 정주목사는 문관과 무관을 교대로 임명하였으며, 가족을 동반하여 부임할 수 있었다. 조선후기 영조 때 편찬된 『여지도서』에 의하면 정주목 소속 관원으로는 좌수 1명, 별감 3명, 독진 중군 1명, 별장 1명, 천총 3명, 기고관 2명, 교련관 2명, 파총 6명, 영장 1명, 초관 32명, 기패관 20명, 수성중군 1명, 천총 1명, 성장 5명, 기고관 2명, 교련관 2명, 파총 3명, 초관 24명, 치총 20명, 행수군관 3명, 병방군관 6명, 아전 42명, 통인(通引) 20명, 사령 10명, 군뢰(軍牢) 20명, 관노 51명, 관비 41명이 있었다.

변천

정주목은 고려시대에 만년군(萬年郡)으로 불리다가 993년(고려 성종 12)에 거란이 침략했을 때 서희의 담판으로 강동6주를 고려의 영토로 확보하였다. 이듬해에 이곳을 관할하기 위해 구주를 설치하고 성을 쌓아 고려의 영토에 편입하였으며, 1018년(고려 현종 9)에 구주방어사를 두었다. 강감찬이 거란의 3차 침입 때 대승을 거둔 구주대첩이 이곳에서 일어났다. 1216년(고려 고종 3)에 거란의 침략을 받아 막대한 피해를 입었으며, 1221년(고려 고종 8)에 곽주에서 반역사건이 일어나 고을 이름을 정리(定裏)로 바꾸었다. 1231년(고려 고종 18)에 제1차 여몽전쟁이 일어났을 때 구주를 지키던 서북면병마사박서(朴犀)가 끝까지 항거하면서 전과를 거두어 정원대도호부(定遠大都護府)로 승격하였다. 이때 주민들과 관청을 섬으로 옮겼다가 1261년(고려 원종 2)에 섬에서 나와 수주(隨州)에 예속되어 겸관(兼官)이 되었다. 뒤에 곽주로 회복하였다가 도호부를 거쳐 정주목(定州牧)으로 승격하였다.

조선이 건국한 이후 1455년(세조 1)에 옛 구주가 국방의 요충지임에도 정주와 멀리 떨어져 있어 행정구역을 나누어 정주에서 일부를 떼어 구성군을 새로 설치하였다. 1457년(세조 3)에는 정주의 방아현(防阿峴)과 천현(泉峴) 고을을 구성군으로 분할하여 행정구역을 조정하였다. 1466년(세조 12)에 의주와 안주 두 진이 멀리 떨어져 있어서 방어에 지장이 많아 수천군(隨川郡)을 폐지하여 정주에 합하고 거진(巨鎭)으로 만드는 동시에 정주목의 치소를 수천으로 옮겼다.

임진왜란 때 선조가 의주로 피난 가는 길에 정주에 들러 3일간 머물렀다. 정묘호란 때는 선천·곽산·정주 3군의 병사가 곽산 능한산성(凌漢山城)에 모여 저항하였으나 중과부적으로 함락되었고, 병자호란 때도 능한산성에서 정주목사가 저항하다가 전사하는 등 조선시대에 외적의 침입으로 많은 피해를 보았다.

1811년(순조 11)에는 가산 다복동에서 홍경래의 난이 일어나 봉기 수일 만에 가산을 비롯하여 평안도 서쪽 해안 일대를 장악하였다. 홍경래군은 안주·평양으로 진격하려다가 송림동의 첫 전투에서 패한 후 수세에 몰리자 모든 병력을 정주성으로 집결시키고 관군에 저항하였다. 정주성에서 관군과 대치하면서 4개월 동안 치열한 공방을 계속하다가 이듬해 4월 19일에 함락되었다(『순조실록』 12년 4월 21일). 이 사건으로 인해 반역향(叛逆鄕)으로 몰려 정원현(定遠縣)으로 강등했다가 뒤에 복귀하였다. 1895년에 지방제도를 개편할 때 의주부 정주군으로 개편되었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경국대전(經國大典)』
  • 『대전회통(大典會通)』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여지도서(輿地圖書)』
  • 차문섭, 『조선시대 군제연구』, 단국대학교출판부, 1973.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