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貞觀)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중국(中國) 당(唐)나라 태종(太宗) 대에 사용한 연호(627년~649년).

개설

중국 당나라 제 2대 황제인 태종의 연호이다(627년~649년).

태종은 이때에 방현령(房玄齡)과 같은 명신을 등용하여 율령(律令) 찬정(撰定) · 군정(軍政) 정비 · 학예(學藝) 장려 등의 사업을 추진하였고, 이것은 당나라의 중앙집권적 기틀을 확립하는데 일보하였다. 또한 돌궐 등을 정벌하며 당의 영토를 확장하는 등 대외적으로도 많은 성과를 이루었다. 그리하여 태종은 중국 역사상 최고의 성군으로 꼽히고 있으며, 이 시기는 태종의 연호인 정관(貞觀)을 본 따 ‘정관의 치(貞觀之治)’라고 불리는데, 현종(玄宗) 시대의 ‘개원의 치(開元之治)’와 함께 중국 역사의 전성기로 기록된다. 그러나 이 시기에 벌어진 고구려(高句麗)와의 전쟁에서는 그다지 성과를 이루지 못하였으며, 게다가 이 전쟁에서 얻은 병으로 태종은 사망하였다.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서도 정관 연호는 자주 등장하는데, 대부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관의 치’와 관련하여서이다. 즉 정관 연간처럼 정치를 행하기 위하여 여러모로 이 시기를 참고하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 『태조실록(太祖實錄)』
  • 『태종실록(太宗實錄)』
  • 『세종실록(世宗實錄)』
  • 『문종실록(文宗實錄)』
  • 『단종실록(端宗實錄)』
  • 『세조실록(世祖實錄)』
  • 『성종실록(成宗實錄)』
  •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 『중종실록(中宗實錄)』
  • 『명종실록(明宗實錄)』
  • 『선조실록(宣祖實錄)』
  • 『인조실록(仁祖實錄)』
  • 『효종실록(孝宗實錄)』
  • 『현종실록(顯宗實錄)』
  • 『숙종실록(肅宗實錄)』
  • 『영조실록(英祖實錄)』
  • 『정조실록(正祖實錄)』
  • 『순조실록(純祖實錄)』
  • 『고종실록(高宗實錄)』
  • 『구당서(舊唐書)』
  • 『신당서(新唐書)』
  • 이현종 편, 『동양연표(東洋年表)』, 탐구당,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