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락문(경복궁)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복궁 자경당의 남행각에 있는 문.

개설

장락문(長樂門)은 궁궐의 많은 영역에서 문의 이름으로 사용하였다. ‘장락(長樂)’이라는 말은 ‘무궁토록 즐거움을 누리라.’는 의미이기에 전각의 주인이 길이 복락을 누리기를 바라는 축원이 들어 있다. 『한비자(韓非子)』「공명(功名)」편에 “존엄한 군주의 지위를 가지고 충신을 제어하면 즐거움이 생기고 공명을 이루게 된다.” 하였고, 『논어(論語)』「이인(里仁)」편에도 “오직 어진 사람만이 길이 즐거움에 처한다.”는 말이 있다. 왕의 어거할 지소라면 당연히 ‘장락’을 기원하였을 것이다. 또한 한나라의 장락궁이 대비를 상징하는 대표적 상징어였기 때문에 대비의 전각에도 ‘장락’이라는 이름을 많이 썼다. 장락문은 고종대에 중건한 경복궁의 자경전(慈慶殿) 영역의 여러 문 이름 가운데 하나인데, 창덕궁의 연경당과 낙선재의 정문도 같은 이름이다.

위치 및 용도

경복궁 자경전의 남쪽 행각에 만세문과 장락문이라는 이름의 정문을 두었으나, 지금은 만세문의 편액만 남아 있다.

변천 및 현황

1867년(고종 4) 8월 18일에 경복궁이 완성되어 갈 때, 영건도감이 각 전각과 문의 이름을 써서 왕에게 올렸다. 자경전 영역의 문은 장락문·만세문(萬歲門)·천춘문(千春門)·순하문(順嘏問)·정서문(呈瑞門)·순지문(順祉門)·연복문(延福門) 등의 이름으로 지어 바쳤는데, 그 가운데 장락문은 만세문과 더불어 자경전의 남쪽 행각에 있는 정문이었다(『고종실록』 4년 8월 18일).

경복궁 자경전의 정문에 본래부터 장락문의 편액을 하지 않은 것인지는 알 수 없지만 19세기 말에 제작된 것으로 알려진 「북궐도형(北闕圖形)」에는 만세문의 이름만 있고 장락문의 이름은 없다. 현재에도 2개의 문 가운데 만세문의 위에만 편액이 걸려 있다.

형태

경복궁 자경전의 남쪽 행각에는 중앙에 각각 1칸씩 2칸의 문이 연이어 달렸는데 문 사이에 판벽을 대고 각 칸에, 각각 문의 영역을 만들어 두었다. 현재 서쪽의 문에는 ‘만세문’이라는 편액이 달려 있고, 동쪽 칸의 문에는 편액이 걸려 있지 않다. 「북궐도형」에도 만세문만을 기록하였는데, 동쪽에 치우쳐 표시되었다. 어느 문이 장락문이었는지 알 수 없지만, 두 문 가운데 한 문이 장락문이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문은 행각에 있는 평문이고 중앙에 문짝을 달아 놓았다. 뇌록(磊綠)을 칠한 울거미가 있는 우리판문이 4짝인데 2짝씩 접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문의 상인방 위에 풍혈을 뚫은 궁판과 홍살을 올려놓았다.

참고문헌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궁궐지(宮闕志)』「동궐도(東闕圖)」「동궐도형(東闕圖形)」「북궐도형(北闕圖形)」
  • 문화재청 편, 『궁궐의 현판과 주련 2』, 수류산방, 2007.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