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감박의(將鑑搏議)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중국의 역대 명장(名將) 94명의 인품과 행적과 그들에 대한 후인의 평가를 모아 편찬한 책.

개설

『장감박의(將鑑搏議)』는 『역대장감박의(歷代將鑑搏議)』를 말하며, 전국(戰國)시대의 손무(孫武)에서 오대(五代)의 곽숭도(郭崇韜)에 이르는 94명의 중국의 역대 명장(名將)의 인품과 행적과 그들에 대한 후인의 평가를 모아 편찬한 책이다.

편찬/발간 경위

서문(序文)에 의하면, 이 책은 원래 송대 1141년 대계(戴溪)가 저술하였었는데, 그로부터 200년이 지나 우할(右轄; 관직명)장예(張預)가 그 책을 오흥(吳興) 지역에서 보고, 그 의론이 정당하고 후인에 귀감이 될 만하다고 여겨, 교정을 거쳐 간행하였다고 한다. 대계의 서문이 작성된 시기가 송 고종(高宗) 때인 1141년 인 것으로 보아, 이 책의 원본이 만들어진 것은 송대이고, 이 책이 간행된 것은 양유정(楊維禎)의 서문이 쓰여진 1366년 무렵으로 보인다.

서지 사항

10권 5책으로 구성되어 있고, 목판본이다. 크기는 세로 33.0cm 가로 22.2cm이며, 규장각에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이 책을 교열, 간행한 장예는 이전에 이미 주재(周齊) 태공(太公)에서 오대시대 양(梁)의 유(劉)에 이르는 총 백 명의 장수들의 행적을 기록한 『백장전(百將傳)』 을 편찬하였다. 『역대장감박의(歷代將鑑博議)』의 서문에서 양유정(楊維禎)은 『백장전』이 인의(仁義)를 갖춘 제왕의 장수(將帥)로 평가되는 태공(太公)을 시작으로 하였으나, 이 책은 허휼(詐譎)에 의탁한 손무나 오기(吳起)를 시작으로 하고, 제왕의 장수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는 관점에서 백장전을 보다 높이 평가하였다.

양유정은 장예가 이 책에서 ‘여러 장수를 잘 통솔함(善將將)’에 주목한 점과 배행검(裵行儉)과 곽자의(郭子儀) 등의 장군들의 행적에 관해 새로운 사실을 밝힌 점을 들어 이 책의 가치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이 책 맨 앞에는 양유정의 서(序), 대계(戴溪)의 서(敍)와 목록이 첨부되어 있다. 시대를 기준으로 권을 나누었다.

장예(張預)에 관해서는 자세한 기록은 알 수 없으나, 양유정의 『역대장감박의(歷代將鑑博議)』에 대한 서문에 의하면, 병법에 뛰어 남은 물론 언행이 의(義)를 근본으로 하여‚ 문무를 겸비한 인물로 평가되고 있다. 그는 『백장전(百將傳)』 10권 이외에도 『역대장감박의』를 편찬하였다. 이 책에는 ‘비평정속백장전서(批評正續百將傳序’와 목록(目錄)이 첨부되어 있으며, 각 권은 열 명의 명장을 한 권으로 묶어 14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의 각 장마다 상단에 조광유의 비평이 실려 있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명장은 다음과 같다.

권1:주재태공(周齊太公)‚ 오손무(吳孫武)‚ 월범려(越范蠡)‚ 재손빈(齊孫臏)‚ 전양상(田穰詳)‚ 위오기(魏吳起)‚ 진백기(秦白起)‚ 진왕새(秦王塞)‚ 연악곡(燕樂毅)‚ 월계목(趙季牧).

권2:조조사(趙趙奢)‚ 조염파(趙廉頗)‚ 재전단(齊田單)‚ 한(漢)의 장량(張良)‚ 한신(漢信)‚ 주아 부(周亞夫)‚ 계광(季廣)‚ 위청(衛靑)‚ 작거병(霍去病)‚ 조충국(趙充國).

권3:진탕(陳湯)‚ 빙봉세(馮奉世)‚ 등우(鄧禹)‚ 구순(寇恂)‚ 빙이(馮異)‚ 잠팽(岑彭)‚ 매복(賈復)‚ 오한(吳漢)‚ 경엄(耿弇)‚ 경공(耿恭).

권4:왕패(王覇)‚ 감궁(減宮)‚ 제준(祭遵)‚ 마원(馬援)‚ 반초(班超)‚ 우후(虞詡)‚ 황보규(皇甫規)‚ 장환(張奐)‚ 단기명(段紀明)‚ 황보숭(皇甫嵩).

권5:주준(朱雋)‚ 위(魏)의 장요(張遼)‚ 장태(張邰)‚ 서황(徐晃)‚ 계전(季典)‚ 등애(鄧艾)‚ 사마의(司馬懿)‚ 촉(蜀)의 제갈량(諸葛亮)‚ 관우(關羽)‚ 장비(張飛).

권6: 오(吳)의 주유(周瑜)‚ 여몽(呂蒙)‚ 육손(陸遜)‚ 육항(陸抗), 진(晉)의 양우(羊祜)‚ 두예(杜預)‚ 왕준(王濬)‚ 마륭(馬隆)‚ 주방(周訪)‚ 도간(陶侃).

권7:사현(謝玄)‚ 연(燕)의 모용낙(慕容恪), 진(秦)의 왕맹(王猛)‚ 송(宋)의 단도제(檀道濟)‚ 왕진오(王鎭惡)‚ 양(梁)의 위예(韋叡)‚ 왕승변(王僧辨)‚ 진(陳)의 오명철(吳明徹)‚ 위(魏)의 최호(崔浩)‚ 우근(于謹).

권8: 재(齊)의 곡율광(斛律光)‚ 주(周)의 우문덕(宇文德)‚ 위효관(韋孝寬)‚ 수(隋)의 양소(楊素)‚ 장손성(長孫晟)‚ 한금호(韓擒虎)‚ 수(隋)의 가약필(賀若弼)‚ 사만세(史萬歲)‚ 당(唐)의 이효공(李孝恭)‚ 위지공(尉遲恭).

권9:이정(李靖)‚ 이적(李勣)‚ 소정방(蘇定方)‚ 설인귀(薛仁貴)‚ 배행검(裵行儉)‚ 당휴경(唐休璟)‚ 장인원(張仁愿)‚ 왕준(王晙)‚ 곽원진(郭元振)‚ 이사업(李嗣業).

권10:이광필(李光弼)‚ 곽자의(郭子儀)‚ 이포진(李抱眞)‚ 이성(李晟)‚ 이소(李愬)‚ 마수(馬燧)‚ 혼감(渾瑊)‚ 왕충사(王忠嗣)‚ 양(梁)의 유(劉).

속백장전(續百將傳) 권1: 양(梁)의 왕언장(王彦章), 당(唐)의 주덕위(周德威)‚ 곽숭도(郭崇韜)‚ 송(宋)의 조빈(曹彬)‚ 조한(曹翰)‚ 왕전무(王全斌)‚ 번미(潘美)‚ 조위(曹瑋)‚ 이계륭(李繼隆)‚ 윤계륜(尹繼倫). 권2:협창(狄靑)‚ 중세형(种世衡)‚ 곽륙(郭逵)‚ 왕소(王韶)‚ 사도(師道)‚ 종택(宗澤)‚ 악비(岳飛)‚ 한세충(韓世忠)‚ 장준(張俊)‚ 유기(劉錡). 권3:오개(吳玠)‚ 오린(吳璘)‚ 송현충(宋顯忠)‚

양존중(楊存中)‚ 왕덕(王德)‚ 왕언(王彦), 유자우(劉子羽)‚ 위승(魏勝), 이보(李寶), 조방(趙方). 권4:맹종정(孟宗政)‚ 맹공(孟珙)‚ 두고(杜杲)‚ 여개(余玠)‚ 조범(趙范)‚ 조규(趙葵)‚ 조우문(曹友聞)‚ 원(元)의 사천택(史天澤)‚ 백안(伯顔)‚ 장홍범(張弘範)

장예는 이 책에서 인의(仁義)를 무장(武將)의 평가의 기준으로 삼고 있는데, 이러한 평가 태도를 통해, 유가적(儒家的) 지식인의 의식을 엿볼 수 있다.

참고문헌

  • 곽낙현, 「무경칠서를 통해서 본 조선전기 무과시취에 관한 연구」, 『동양고전연구』 제34집, 동양고전학회, 2009.
  •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무경칠서』,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1987.
  • 권영길, 『병법칠서』, 해동문화사, 1963.
  • 김광석, 『용병술어연구』, 병학사, 1993.
  • 김기동, 『중국 병법의 지혜』, 서광사,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