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초(紫草)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치(Lithospermum erythrorhizon), 신강자초(Arnebia euchroma) 또는 내몽자초(Arnebia guttata)의 뿌리를 햇볕에 말린 것.

개설

뿌리가 유난히 자색(紫色)을 띠고 있어 자초(紫草)라고 하였다. 옛날부터 염료로 많이 사용하였으며 진도 홍주의 원료로 사용된다. 피를 맑게 해 주고 혈액 순환을 좋게 하며[凉血活血], 열독을 없애 주고 피부 트러블을 치료하는[解毒透疹] 등의 효능이 있다.

산지 및 유통

『세종실록』「지리지」에 의하면 충청도, 전라도에서 생산되는 토산물이다.

약재화 방식 및 효능

음력 3월에 채취하여 그늘에 말린다.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밀랍[蠟]과 함께 찌는 방법에 대해서도 나와 있다.

명치 밑에 사기(邪氣)가 있는 것, 황달 등을 치료한다. 비위를 보하며 기운을 돕는다. 구규(九竅)를 잘 통하게 하고 소변을 잘 누게 한다. 배가 붓거나 아픈 것 등도 치료한다. 잘 낫지 않는 종기, 버짐, 어린아이의 홍역과 천연두를 치료하는 데에도 두루 쓰인 약재이다.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에는 고약에 섞어 어린아이의 종기와 얼굴에 난 작은 뾰루지를 치료하는 방법에 대해 나와 있다. 『위주독행방(韋宙獨行方)』에서는 완두창(豌豆瘡)을 치료하는 데 자초탕을 달여 먹였다고 하였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홍역과 마마에는 반드시 자초용(茸)을 써야 한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왕조실록』에 자초립(紫草笠)을 주고받았다는 기록이 자주 보이는데(『단종실록』 3년 윤6월 1일), 이를 통해 붉은 색으로 물들인 자초립이 귀한 물건이었음을 추측해 볼 수 있다.

참고문헌

  •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 『본초강목(本草綱目)』
  • 『동의보감(東醫寶鑑)』
  •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방제학교실, 『(운곡)한약재의 기원 및 산지 총람』, 한국학술정보, 2009.
  • 동양의학대사전편찬위원회 편, 『동양의학대사전』, 경희대학교출판국, 1999.
  • 江蘇新醫學院, 『中藥大辭典』, 上海科學技術出版社, 2002.
  • 國家中醫藥管理局中華本草編委會, 『中華本草』, 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99.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