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영문(日永門)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복궁 집옥재 남쪽 가회정 앞에 있는 일각문.

개설

경복궁의 북문인 신무문(神武門) 안 동쪽에는 고종대에 건축된 집옥재(集玉齋)가 있다. 집옥재는 어진 봉안과 장서 보관을 위해 마련된 공간으로 청나라식 건축의 특징을 갖고 있다. 신무문에서 남쪽으로 뻗은 길을 따라가다 보면 동쪽에 3칸의 광림문(廣臨門)이 있는데, 광림문 안쪽으로 들어가면 북쪽으로 담장이 뻗어 있고 일각문 형태의 일영문(日永門)과 일접문(日接門)이 각각 놓여 있다. 두 문의 안쪽에 보현당(寶賢堂)과 집옥재가 있다. 일접문은 보현당으로 바로 통하게 되었고, 일영문은 가회정(嘉會亭)으로 통한다. 이러한 구성은 「북궐도형(北闕圖形)」과 『궁궐지(宮闕志)』에서 확인할 수 있다.

경희궁에도 일영문이 있는데, 융복전(隆福殿) 앞의 문이다. 「서궐도안(西闕圖案)」에는 경희궁의 두 침전인 회상전(會祥殿)과 융복전이 묘사되었는데, 융복전 앞에 일영문, 뒤쪽에 개경문(開景門), 회화문(會化門)이 있다. 숙종이 융복전에서 승하하자 소렴을 마치고 자정전(資政殿)에서 대렴하였는데, 시신의 재궁이 일영문을 통해 융복전에서 집경당(集慶堂) 대청을 가로질러 청상문(淸商門)을 지나 자정전에 이르렀다. 1774년(영조 50)에 영조가 90살을 바라보는 해에 왕세손(후에 정조)의 청에 따라 영조는 일영문 와내(臥內)에서 왕세손과 백관들의 축하 의례를 받았다(『영조실록』 50년 2월 2일). 「서궐도안」에는 1칸의 일각문으로 묘사되었다.

참고문헌

  • 『경복궁영건일기(景福宮營建日記)』
  • 『국조속오례의(國朝續五禮儀)』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경복궁고도(景福宮古圖)」「경복궁배치도(景福宮配置圖)」「북궐도형(北闕圖形)」「서궐도안(西闕圖案)」
  • 문화재청, 『조선시대 궁궐 용어해설』, 문화재청, 2009.
  • 조재모, 「조선시대 궁궐의 의례운영과 건축형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 홍순민, 「조선왕조 궁궐 경영과 “양궐체제”의 변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