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임금구결(六壬金口訣)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음양오행설로 인사(人事)의 길흉화복을 예측하는 서책.

개설

육임(六壬) 문헌의 하나인 『육임금구결』의 주요 이론적 배경은 하도·낙서와 음양오행설 그리고 십간십이지다. 이 서책에는 구점(求占)하는 날의 일진(日辰)과 구점하는 때의 점시(占時)와 방문객이 온 방위로 육임식반(六壬食盤)을 조식(造式)한 뒤에, 이를 보고 길흉화복을 예측하는 이론이 기술되어 있다. 『육임지남(六壬指南)』에는 삼전(三傳)이 있는 데 반해 『육임금구결』에는 삼전이 없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편찬/발간 경위

우리나라에서는 편찬 또는 발간되었다는 기록이 없다. 다만 송나라에서 발행된 목판본이 고려대학교 도서관·부산대학교 도서관·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을 뿐이다. 조선후기에 『역림보유(易林補遺)』·『연해자평(淵海子平)』 등과 함께 청에서 구해왔다는 기록이 있다(『영조실록』 8년 2월 10일).

서지 사항

전국시대 병법가이자 군사가인 손빈(孫臏)이 저술했다. 청나라의 양수일(楊守一)이 정열(精閱)하고 웅대목(熊大木)이 교정(校正)하며 주경현(周儆弦)이 중정(重訂)해서 1880년(청 광서 6)에 소엽산방(掃葉山房)에서 발행한 『육임신과금구결(六壬神課金口訣)』 목판본이 고려대학교 도서관과 부산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그리고 국립중앙도서관에는 황도(黃陶)가 서문을 쓰고 이우문(李右文)이 중간(重刊)한 『육임신과금구결대전(六壬神課金口訣大全)』이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상편·중편·하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편에는 육임의 기본 이론이 수록되어 있다. 입식(入式)하는 방법, 십간십이지의 오행, 십이장신(十二將神)과 십이귀신(十二貴神)의 소속, 귀신(貴神)을 일으키는 방법, 사상(四象)과 사위(四位), 오동효송(五動爻頌)에서는 다섯 동효의 활용, 간류(干類)에서는 간(干)에서 신(神)이나 장(將)을 극했을 경우의 길흉, 신류(神類)에서는 신(神)에서 방(方)이나 장(將)이나 간(干)을 생(生)할 경우의 길흉, 장류(將類)에서는 장에서 간이나 방을 생을 할 경우와 장에서 간이나 방을 극할 경우의 길흉이 수록되어 있다. 중편에는 십이장신소주가(十二將神所主歌)와 십이장신가해(十二將神歌解)에는 열두 장신이 맡은 일, 십이귀신소주가(十二貴神所主歌)에는 열두 천장이 맡은 일, 십이지지병귀신소주(十二地支並貴神所主)에는 열두 신이 맡은 일, 사위오행소주(四位五行所主)에는 사위의 오행이 맡은 일, 사위잡단가(四位雜斷歌)에는 사위에서의 생극(生剋)에 따른 길흉 등이 차례로 수록되어 있다. 하편의 석부문(射覆門)에는 안색을 예측하는 방법, 윗옷에 들어 있는 물건을 예측하는 방법, 나를 찾아 온 사람의 목적을 예측하는 방법, 천시문에는 날씨를 예측하는 방법, 지리문에는 논밭과 샘터를 예측하는 방법, 인사문에는 사람의 형상과 귀천을 예측하는 방법을 비롯하여 혼인·임신·출산·관록·소송·출행·교역·구재·질병 및 꿈 해몽을 예측하는 방법이 수록되어 있다. 이외에도 도적문·조수문(鳥獸門)·음식문·택사문(宅舍門)·분지문(墳地門)이 그 뒤를 잇고 있다.

참고문헌

  • 孫臏, 『六壬神課金口訣大全』, (台北)育林出版社,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