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화(流火)
sillokwiki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유화 |
한글표제 | 유화 |
한자표제 | 流火 |
관련어 | 고려(高麗), 화통도감(火㷁都監), 최무선(崔茂宣), 주화(走火), 촉천화(觸天火), 신기전(神機箭) |
분야 | 정치/군사·국방/병기 |
유형 | 물품·도구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고려, 조선 |
왕대 | 고려, 조선 |
집필자 | 박재광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유화(流火) |
고려와 조선시대 화약 무기의 일종.
개설
고려 말부터 사용된 화약 병기로서 오늘날의 로켓과 같이 화약의 힘으로 날아가 적진을 불사르거나 사람과 말을 살상하는 분사식 무기이다. 유화와 같은 분사식 무기에는 주화·화전·천산오룡전·촉천화 등이 있다.
연원 및 변천
1377년(고려 우왕 3)에 최무선(崔茂宣)의 건의에 따라 화통도감이 설치되었다. 이 화통도감을 통해서 유화(流火)를 비롯하여 18종의 각종 화기와 발사물이 제작되었다. 이때부터 고려의 화약 및 화기의 제작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였다. 그러나 화통도감의 구성이나 규모, 화약 병기의 위력 등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 수 없다.
유화는 ‘흐르는 불’이라는 이름으로 보아 오늘날의 로켓과 같이 화약의 힘으로 날아가 적진을 불사르거나 사람과 말을 살상하는 분사식 화약 무기로 해석된다. 연등놀이를 묘사한 『연재집(淵齋集)』 권19에 실린 시에 ‘천만 가지 등불은 나무에 층층, 유화는 이루 셀 수 없거니’라는 구절이 있는 것에서 분사식 불화살로 불꽃놀이에도 이용되지 않았나 생각된다.
고려에는 유화 외에도 주화·화전·천산오룡전·촉천화 등의 분사식 무기가 있었다. 이들 화기는 조선시대에 들어서 신기전(神機箭)으로 발전하여 널리 활용되었다.
형태 및 용도
유화의 생김새는 문헌자료가 간략하여 자세히 알 수 없으나, 오늘날의 로켓처럼 적진에 날아가 인마를 살상하는 분사식 무기라 할 수 있다. 이와 비슷한 무기인 주화는 화살통에 넣어 발사하면 불빛과 연기를 내면서 날아가는데, 추진 원리가 현대의 로켓과 비슷하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연재집(淵齋集)』
- 국사편찬위원회 편, 『나라를 지켜낸 우리 무기와 무예』, 두산동아, 2007.
- 김기웅 외, 『한국무기발달사』, 국방군사연구소, 1995.
- 민승기, 『조선의 무기와 갑옷』, 가람기획, 2004.
- 박재광, 『화염 조선-전통 비밀 병기의 과학적 재발견』, 글항아리, 2009.
- 이강칠, 『한국의 화포-지화식에서 화승식으로』, 동재, 2004.
- 채연석, 『한국초기화기연구』, 일지사, 1981.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