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劉綎)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임진왜란 때 조선에 파견된 명의 장수.

개설

평양성 전투 후 명나라는 사천 총병인 유정을 복건 등처의 소모병(召募兵)을 거느리게 하여 조선으로 파견하였다. 유정은 일본과의 강화협상이 진행되는 동안 주요 거점에 주둔하면서 조선을 방어하였다. 이후 명나라로 돌아갔다가 정유재란 때 제독(提督)이 되어 재파병되었다. 순천왜성에 주둔한 소서행장(小西行長)을 공격하였으나, 그와 비밀리에 협상을 맺고 물품과 인질을 서로 교환한 후 도망치는 것을 허락하여 비난을 받기도 하였다. 전쟁이 종결된 후 명나라로 돌아가 도독(都督)으로 승진하였다. 1619년 사르후[薩爾滸, Sarhu] 전투에서 조명연합군이 속한 동로군(東路軍)의 사령관으로 참전하였다가 전사하였다.

가계

아버지는 명나라의 대장군(大將軍) 도독 유현(劉顯)이다. 양자(養子)는 유초손(劉招孫)이다.

활동 사항

유정은 부친을 따라 13세부터 종군(從軍)하여 무인(武人)이 되었으며, 영창(永昌) 등지에 침입한 면전(緬甸: 현 미얀마)의 군사를 격퇴하였고, 운남(雲南)의 반란을 평정하는 데 참여하기도 하였다. 1592년 조선에서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그 이듬해인 1593년에 참전하였다.

명나라는 조선에서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구원군을 파견하여 평양에 있던 일본군을 공격하였다. 그런데 평양성을 함락한 뒤 화기수 중심의 남병(南兵)과 기병 중심의 북병(北兵) 사이에 논공행상과 관련한 갈등이 발생하자 이여송(李如松)은 북병을 중심으로 일본군을 추격하였다가 벽제관(碧蹄館)에서 큰 패배를 당하였다. 이에 명군 지휘부는 일본과의 강화협상을 진행하는 한편 추가로 군사를 파견하였다.

평양성 전투 후, 명나라에서는 사천총병(四川總兵)인 유정을 복건(福建)·서촉(西蜀)·남만(南蠻) 등처의 소모병(召募兵)을 거느리게 하여 조선으로 파견하였다(『선조수정실록』 26년 5월 1일). 1593년 4월 유정은 남병 약 5,500명을 이끌고 조선으로 들어왔는데, 당시 유정이 이끌던 남병 중에는 섬라(暹羅: 현 타이)·도만(都蠻)·소서천축(小西天竺: 현 인도 지역)·육번득능국묘자(六番得楞國苗子)·서번삼색(西番三塞: 현 티베트)·면국(緬國: 현 미얀마)·파주(播州)·당파(鏜鈀) 출신의 군사들이 있었다(『선조실록』 26년 4월 2일)(『선조실록』 26년 4월 10일).

유정은 일본과의 강화협상이 진행되는 동안 군사를 이끌고 대구·합천·상주 등에 주둔하면서 방어하였다(『선조실록』 26년 7월 10일)(『선조실록』 26년 8월 1일)(『선조실록』 26년 9월 6일). 명나라에서 유정의 군대에 철수 명령을 내렸으나 남원(南原)으로 내려가 3개월을 지체하면서 형세를 관망하기도 하였다(『선조실록』 27년 5월 15일)(『선조실록』 27년 7월 5일). 유정은 명나라에서 일본에 대해 봉공(封貢)을 허락하더라도 일본은 반드시 강화를 요구하러 또 올 것으로 예상하였고, 봉공이 허락되지 않으면 철병령에 따라 압록강을 한계로 방어할 생각이었다(『선조실록』 27년 7월 5일).

또한 조선의 영남(嶺南) 지방 백성들의 굶주림을 생각해서 쌀과 콩을 멀리서 운반해 와 진휼하기도 하였고, 조선인에게 민폐를 끼치지 못하도록 아랫사람을 매우 엄격하게 단속하였다(『선조실록』 27년 8월 1일)(『선조실록』 27년 8월 17일). 유정은 일본과의 강화협상 및 봉공에 대해 반대하였으나 결국 1594년 9월 중국으로 철병하였다(『선조실록』 27년 9월 11일)(『선조실록』 27년 11월 18일).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나고 명군이 울산성을 포위했다가 일본군의 원병 파견으로 함락시키지 못하고 퇴각하자, 유정은 제독(提督)으로서 1만 2천여 명의 군사를 이끌고 다시 조선으로 파견되었다(『선조실록』 31년 5월 16일)(『선조실록』 31년 6월 18일). 그때 그의 정식 관명(官名)은 제독한토관병어왜총병관우군도독첨사(提督漢土官兵禦倭總兵官右軍都督僉事)였다(『선조실록』 32년 7월 17일).

유정은 남원에 주둔하였다가 소서행장(小西行長)이 주둔한 예교(曳橋, [倭橋]), 즉 지금의 순천왜성으로 진군하여 일본군을 포위하고 접전을 벌였으나, 일본군의 공세에 함락시키지 못하고 퇴각하였다(『선조실록』 31년 9월 7일)(『선조실록』 31년 9월 24일). 결국 유정은 소서행장과 비밀리에 화의(和議)를 맺고 금·비단과 인질을 서로 교환한 다음 그가 도망치는 것을 허락하고 일본군이 철수하자 순천왜성에 들어갔다(『선조실록』 31년 11월 23일)(『선조실록』 32년 2월 1일). 일본군이 물러간 왜성에 들어가서는 성가퀴를 허물어 성을 함락시킨 것처럼 하고, 땅에 묻은 시체의 머리를 잘라 자신이 잡은 것처럼 전공을 과장하였다(『선조실록』 32년 2월 2일).

전쟁이 종결되고 일본군이 철수한 뒤 명으로 귀국한 유정은 일본과의 전투에서 세운 공으로 도독(都督)으로 승진하였다(『선조실록』 32년 10월 13일). 1619년 후금의 누르하치[奴兒哈赤]를 공격할 때 조명연합군이 속한 동로군의 사령관이었고, 후금군과 심하의 부차(富車) 전투 때 전사하였다(『광해군일기』 10년 11월 9일)(『광해군일기』 11년 4월 10일).

학문과 사상

저술 및 작품

『각관대회영창연집부시(各官大會永昌宴集賦詩)』,『평파개선술회(平播凱旋述懷)』

묘소

상훈 및 추모

소보(少保)가 증직되었다.

참고문헌

  • 임종욱, 『중국역대인명사전』, 이회문화사, 2010.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