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대(月臺)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궁궐 주요 전각에 조성된 넓은 기단.

개설

월대란 달을 바라보는 대라는 뜻의 ‘월견대(月見臺)’에서 기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궁궐의 주요 전각에 조성되었으며, 기단을 높이고 넓게 확장시키는 것은 건물의 위상을 나타내 주는 수단이 된다. 궁궐의 대표적 전각이며 왕의 정치적 위상을 나타내는 정전의 월대는 상하 2단으로 구성되고 왕후의 전각, 대비의 전각, 동궁의 정당 건물에는 1단의 월대를 조성하였다.

조선은 예와 명분을 중요한 통치 이념으로 삼았던 왕조였다.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기본으로 하는 국가와 왕실의 연회가 많았던 만큼 행사를 치르는 장소의 선정도 중요하게 논의되곤 하였다. 궁궐에는 잔치나 행사를 위한 전각을 따로 마련해 두지 않았기 때문에 의례나 잔치를 받는 당사자가 누구냐에 따라 그 장소가 달라졌다. 또한 행사의 장소로 결정되기 위해서는 행사를 위한 기본적 요건을 갖춘 공간이 꾸며져 있어야 했다. 의례를 치르기 위해 마련되어 있어야 하는 요건은 넓은 마당과 월대이다. 마당과 월대가 기본적으로 갖추어져 있다면 필요에 따라 공간을 구획하는 것은 휘장, 막차, 보계, 주렴 등의 기물을 설치하는 것으로 충분하였다.

의례를 베풀기 위해 마련되는 공간 역시 위계에 따라 정해지는데, 이때 전각이 모두 열리고 왕을 비롯한 왕실의 웃전이 전각 안의 설행 공간에 자리하게 된다. 월대는 실내와 실외를 연결하고 구분 짓는 완충 공간으로써, 의식의 순서를 이끌기 위한 동선의 중요 장소라 할 수 있다. 전면으로 더욱 확장된 공간이 필요할 경우, 월대에 잇대어 설치된 보계(補階), 또는 전정(殿庭)이 의식을 위한 무대가 되거나 기물을 벌여 놓는 장소 및 빈객을 위한 장소가 된다.

내용 및 특징

조선왕조는 여러 개의 궁궐을 경영하였다. 이들 궁궐의 법전인 근정전(勤政殿), 인정전(仁政殿), 명정전(明政殿), 숭정전(崇政殿), 중화전(中和殿)은 모두 이중의 월대로 구성되어 있다. 월대의 전·후면과 좌·우에는 계단을 두었다. 전·후면 계단은 중앙에 하나 설치되며 전면 중앙의 계단은 양쪽에 계석을 놓고 그 가운데에 답도(踏道)라고 부르는 평평한 돌을 경사지게 놓는다. 황제의 답도는 구름과 용 문양을 조각해 넣지만 제후의 답도에는 봉황과 구름 문양을 넣는다. 덕수궁의 법전인 중화전은 고종황제의 제국 선언 이후에 중수했던 까닭에 유일하게 답도에 용을 새겨 넣은 월대를 가지고 있다. 또 월대의 동·서에는 두 개의 계단을 벌려서 놓는데 조계(阼階)(『태종실록』 17년 12월 14일) 또는 편계(偏階)(『문종실록』 즉위년 10월 6일)라 부른다. 의례의 의식 동선에서 중요한 인물들은 이 편계의 동쪽 계단인 조계를 통해 월대에 오른다.

근정전은 나머지 네 궁궐의 정전과는 사뭇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상하층 월대의 사방에 난간을 두르고 사방 모서리와 각 계단의 법수(法首)에 상서로운 동물 조각을 놓았다.

각 궁궐 정전의 월대는 조정이라 하는 전정(殿庭)의 마당에 놓이기 때문에 전각의 정문과 일직선상의 축을 갖게 된다. 때문에 답도까지 연결되는 어도가 정문에서부터 월대의 전면까지 놓인다. 정조 이후에는 어도의 양옆에 품계석을 설치해 정전 일곽을 이루는 석조물의 장대한 형상이 만들어진다.

정전 이외에도 왕후의 전각으로 알려진 교태전(交泰殿)·대조전(大造殿)·통명전(通明殿), 대비의 전각인 수정전(修政殿)·자경전(慈慶殿)·집상전(集祥殿)·경복전(景福殿)의 터에서도 월대가 확인되며, 동궁의 정당인 중희당(重熙堂) 등에도 월대를 놓았다. 왕후·대비 전각의 월대는 기단이 확대된 정도이거나 전각 전면의 일부에 월대가 놓여 있어 의례나 잔치의 형태가 정전과는 달랐다는 것을 알 수 있다.

P00005064 01.PNG

300px

변천

월대를 건설하는 재료는 석물이기 때문에 월대와 함께 구성된 건물에 어떤 변화가 생기더라도 기단, 월대의 변화는 크지 않다. 근정전의 경우,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던 경복궁이 약 270여 년간 방치되었다가 고종시기에 재건되었다. 그러나 보존된 석물의 원형에 가깝게 보수하였기 때문에 처음 만들어진 근정전 월대의 모습을 유지했다고 본다.

참고문헌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일성록(日省錄)』
  • 『국조보감(國朝寶鑑)』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임진]진찬의궤[壬辰]進饌儀軌)』「동궐도(東闕圖)」「동궐도형(東闕圖形)」「왕세자탄강진하도십첩병(王世子誕降陳賀圖十疊屛)」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28』,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1995.
  • 이성준, 「경복궁 근정전 월대 난간 석주상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