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방패(圓防牌)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원방패 |
한글표제 | 원방패 |
한자표제 | 圓防牌 |
상위어 | 방패(防牌), 팽배(彭排) |
관련어 | 장방패(長防牌) |
분야 | 정치/군사·국방/병기 |
유형 | 물품·도구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왕대 | 조선 |
집필자 | 곽낙현 |
용도 | 전쟁 무기 |
재질 | 쇠, 소나무, 짐승 가죽, 구리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원방패(圓防牌)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태종실록』 7년 9월 5일, 『세종실록』 3년 6월 9일, 『태종실록』 10년 3월 11일, 『태종실록』 15년 6월 17일, 『세종실록』 30년 3월 9일 |
조선시대 병기 중의 하나로 태종대에 만들어진 둥근 모양의 방패.
개설
조선은 개국 초기에는 방패가 없었으나, 태종대에 방패를 처음 만들어 사용하였다. 방패는 칼이나 창을 막는 수비기구로서 모양이 둥근 모양인 원방패(圓防牌)와 장방형인 장방패(長防牌)가 있었다. 원방패는 모양이 둥근 방패로서 지름이 90㎝이다. 뒷면은 무명으로 바르고, 가운데에 손잡이가 있으며, 앞면은 쇠가죽으로 싸고 그 위에 오색으로 물결과 짐승 얼굴을 그려 놓았다.
연원 및 변천
조선초기에 북방의 여진족들은 산악 지역에서 대열을 짓지 않고 숲과 돌 틈에 숨거나 혹은 말을 타고 달리면서 활을 쏘아 공격했기 때문에, 대열을 갖추고 대부대로 이동하는 조선군은 상대적으로 불리한 입장에서 싸워야 했다. 조선은 1407년(태종 7)에 처음으로 방패를 만들어서 여진족과의 싸움에 대비하였다(『태종실록』 7년 9월 5일).
원방패는 상대적으로 가볍고 철로 테두리를 두른 것으로 보아 주로 보병이 단병접전용으로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세종실록』에는 원방패를 적 기병의 말을 놀라게 하는 데 사용한다고 하였다(『세종실록』 3년 6월 9일). 조선초기에는 방패를 팽배(彭排)라고 하고, 이것으로 무장한 병사를 팽배수라고 하였는데, 이는 방패의 고전적인 독음으로 보인다. 조선초기의 오위진법에서 보병부대는 궁수·총통수·창수·장검수·팽배수로 구성되는데, 이들 중 팽배수가 방패를 들고 가장 전면에 서서 적의 화살을 막았다. 팽배수는 왼손에는 방패를 들고 오른손으로는 환도를 잡았다.
정도전(鄭道傳)은 『진법』에서 칼과 방패로 무장한 병사의 장점[刀楯之利]을 이야기하며, 높은 언덕과 좁은 길에 장애물이 많이 있으면 이곳은 칼과 방패를 사용하는 곳이며, 이런 장소에서는 궁노(弓弩) 2명이 도순(刀楯) 1명을 당하지 못한다고 했다. 또한 1410년(태종 10)에는 팽배수와 창수들에게 각각 목검과 목창을 들고 교전하도록 하였는데, 다음 날 창수 2명이 사망하고 말았다고 한다(『태종실록』 10년 3월 11일). 이로 보건대, 조선초기의 방패수는 단병접전에서 상당히 강력한 전투력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조선전기에는 방패로 무장한 별도의 시위부대가 편성되기도 하였다. 1415년(태종 15)에는 “장실한 자 1천 명을 뽑아 방패를 주어 돌아가면서 시위케 하면 좋은 제도가 될 것”이라는 제안에 따라서 ‘방패’라고 하는 별도의 부대가 구성되었고(『태종실록』 15년 6월 17일), 세종 때는 그 인원이 7,500명에 달하였다(『세종실록』 30년 3월 9일).
임진왜란 이후에는 등나무 줄기로 만든 등패, 생우피(生牛皮) 방패, 죽패 등을 사용하였다.
형태
당시 제작된 방패는 둥근 원방패와 직사각형 모양의 장방패 두 종류였다. 원방패는 지름 3척(63㎝)의 원형 소나무 널빤지를 안쪽으로 오목하게 깎고 표면에는 가죽을 씌웠으며, 안쪽에는 천을 씌웠다. 방패의 테두리에는 철 띠를 둘러 보강했으며, 방패의 표면에는 부대별로 색을 달리하여 중군(中軍)은 적색, 좌군(左軍)은 청색, 우군(右軍)은 백색으로 나두(螺頭), 즉 괴수머리를 그렸다. 방패 가운데에는 구리거울을 장치하여 번쩍거리며 위용을 나타내게 하였다[『세종실록』 오례 군례 서례 병기 간].
참고문헌
- 『경국대전(經國大典)』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진법(陣法)』
- 민승기, 『조선의 무기와 갑옷』, 가람기획, 2004.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