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강보(玉江堡)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 평안도 의주군에 설치하여 만호가 관장하던 진보.

개설

옥강진은 평안도 강변(江邊) 7읍(邑) 중 하나인 의주부에 설치되었던 군사시설이다. 강변 7읍은 압록강 이북으로부터 이민족의 침입을 일차적으로 방어하는 군사적 요충지였다. 그중에서도 의주부는 압록강의 하류 지점에 위치하여 적의 동태를 파악하고 불시 침입에 대비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또한 의주부는 중국과 조선의 사신들이 압록강을 건너 오가는 길에 위치하여 군사적·외교적 중요성이 매우 높은 지역이었다. 『여지도서』에 따르면 이미 18세기 초반 의주부에는 8개의 진보가 촘촘하게 배치되어 있었다. 옥강진은 의주부의 압록강 진보 체제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었다.

위치 및 용도

평안도 의주부 동북쪽의 50리(약 20㎞) 떨어진 압록강 변에 위치하였다. 또한 옥강천(玉江川)과 압록강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여 지리적으로 매우 중요한 곳이었다. 겨울철에 압록강이 얼 경우 대규모 군대가 침입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의주부의 압록강 변에는 방어 목적의 진보가 다수 설치되었다. 옥강진을 중심으로 압록강 하류 방향으로는 수구진(水口鎭)·건천보(乾川堡)·인산진(麟山鎭)·양하진(楊下鎭)이 배치되었고, 상류 방향으로는 방산진(方山鎭)·청성진(淸城鎭)·청수진(靑水鎭)이 자리하고 있었다.

옥강진의 역할은 외적의 방어와 감시였다. 평안도의 방어체제는 기본적으로 순(巡)·병영(兵營)―주진관(主鎭管)·독진(獨鎭)―진보(鎭堡)―파수(把守)로 이어지는 구조였다. 여기에 지휘체계가 미치기 어렵거나 주요한 군사적 요충지에는 추가적으로 방어영을 설치하였다. 옥강진과 같은 진보는 평안도 최전방과 내지의 요충지에서 실질적인 방어를 담당하는 군사시설이었다. 옥강진은 인근 봉대를 통제하면서 긴급한 소식을 군영에 전달하였고, 파수를 관리하며 적의 동태를 파악하였다.

변천 및 현황

조선초기부터 군사적 중요성을 인정받아 구자(口子)를 설치하여 방어체제를 갖추었다(『세종실록』 27년 1월 9일). 문종대에는 옥강에 행성을 설치하여 겨울에 얼음이 얼더라도 천호가 군사 10명을 거느리고 들어가 적의 동태를 감시하게 하였다(『문종실록』 1년 8월 6일). 중종대에는 의주에서 옥강보까지 수구연대(水口煙臺)·소수구보(小水口堡)·송산연대(松山煙臺)·송산보(松山堡)·구룡연대(九龍煙臺) 등과 같은 군사시설이 서로 7리 혹은 5리 떨어져서 강을 따라 설치되어 있으므로 진보를 설치할 만한 빈 곳이 없다고 할 정도로 이 지역의 방어체제는 치밀하게 정비되어 있었다.

조선전기 정비되었던 평안도 진보는 임진왜란 등과 같은 전란을 겪으면서 크게 약화되었다. 옥강진은 최현(崔晛)의 『인재집』에 따르면 17세기 초반 군액이 토병과 입방군을 합쳐 15명에 불과했다. 그럼에도 병자호란 패배 이후 청나라의 감시와 군사 재정상의 문제로 인해 17세기 후반까지도 정상적으로 복구되지 못한 상태였다. 옥강진은 현종대부터 시작하여 숙종 즉위 후 본격화된 평안도 지역 군제 복구 사업과 함께 재정비되었다. 이 시기 복구된 평안도의 진보는 『속대전』을 기준으로 총 62곳이었다. 18세기 옥강진은 만호의 지휘 아래 군병 약 49명이 소속돼 있었다.

형태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옥강진의 전신인 옥강보에는 둘레 744척(약 225.5m), 높이 5척 5촌(약 1.7m)의 석성이 있었다.

참고문헌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속대전(續大典)』
  • 『여지도서(輿地圖書)』
  • 『인재집(訒齋集)』
  • 강석화, 「조선후기 평안도지역 압록강변의 방어체제」, 『한국문화』34, 규장각한국학연구소, 2004.
  • 고승희, 「조선후기 평안도지역 도로 방어체제의 정비」, 『한국문화』34, 규장각한국학연구소, 2004.
  • 이철성, 「17세기 평안도 ‘강변 7읍’의 방어체제」, 『한국사학보』13, 고려사학회, 2002.
  • 임성수, 「18세기 평안도 진보재정의 운영과 변화」, 『한국사학보』46, 고려사학회, 2012.